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는 금 가격 상승 추세가 당분간 이어지지만, 투기 수요가 과도해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이 있다며 투자에 신중할 것을 당부했다.

백종호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11일 보고서에서 “트럼프 2.0 시대 도래로 국가별로 미국과의 관계에 따라 금 수요에 대한 전략적 선택이 불가피하다”며 “금 가격의 우상향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백 연구위원은 다만 금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고도 했다. 그는 “현재 금 강세 요인이 우세하기는 하지만 금리·달러 전망 등 변수가 남아있는 가운데 최근 투기 수요가 과도해 금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최근 금 가격은 공급이 제한된 상황에서 중앙은행 수요, 글로벌 투자 심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금값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10%가량 오르면서 온스당 2900달러대까지 상승했다. 고금리, 달러 강세 상황에서 금 가격이 오른 것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헤지(hedge·위험 분산) 수요가 유입됐기 때문이다.
국내 금값은 비상계엄 사태 등 국내 정치 불안이 겹치면서 안전자산 선호 경향에 더 상승했다. 지난달 한국거래소 금 시장에서는 국내 시세가 국제 시세보다 사상 처음으로 20% 이상 높아지기도 했다. 일반인들이 소액 금을 재테크 차원에서 매입하면서 조폐공사와 금 거래소가 골드바 판매를 일시 중단하기도 했다. 이후 국내 금 가격이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현재는 국제 금 시세와 큰 차이가 없는 상황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 금시장에서 지난 10일 1㎏짜리 금 현물(금 99.99_1㎏)은 1g당 13만9880원에 거래를 마쳤다. 한국거래소가 금 국제 시세를 원화 가치로 환산한 뒤 g단위로 공표하는 국제 금 현물 가격은 13만5970원이었다.
백 연구위원은 최근 금값 상승세는 “불확실성 확대에 주로 기인한다”며 지정학적 위기, 중앙은행의 매수세와 더불어 투기적 자금도 유입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트럼프 2.0 시대 도래로 국가별로 미국과의 관계에 따라 금 수요에 대한 전략적 선택이 불가피하다"며 "금 가격의 우상향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금 투자에는 다소 신중한 태도를 나타냈다. 그는 “금 가격이 단기간에 많이 오른 상황에서 단기 차익을 위한 보유보다는 포트폴리오 위험 분산, 중장기 수익률 제고 측면에서 금 투자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