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기준 월 200만원 이상의 국민연금을 받는 수급자가 5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건강한 상태에서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개인 노후에 필요한 최소 생활비(월 136만1000원)를 넘는다.
11일 국민연금공단의 ‘2024년 11월 기준 국민연금 통계’ 자료를 보면 지난해 11월말 기준 매달 200만원 이상의 국민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4만9374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수급자 699만5544명의 0.7%다. 성별로는 남성이 4만8489명이고 여성은 885명인데, 국민연금이 도입된 1988년 직후의 시점 기준에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여성이 많지 않았던 데다가 주로 저임금 일자리를 담당했고, 결혼과 출산 등으로 경력단절도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 달에 국민연금으로 200만원을 받는 수급자는 도입 30년 만인 2018년 1월에 처음 나왔다. 2018년에는 10명, 2019년에는 98명으로 점차 증가해 2020년에는 437명으로 세자릿수를 기록하더니, 2021년에는 1355명으로 그 증가폭이 점점 가팔라졌다. 2022년에는 5410명으로 불어났으며 2023년에는 1만7810명으로 늘었다.
20년 이상 장기 가입으로 노령연금을 타는 사람이 계속 증가하는 데다가,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이 길수록 수령액이 커지고 해마다 물가 인상에 맞춰 기본연금액이 꾸준히 오른 결과다.
국민연금공단 산하 국민연금연구원이 지난해 12월 공개한 제10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를 보면,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건강한 상태에서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개인 기준 노후 필요한 최소 생활비는 월 136만1000원이고, 적정 생활비는 192만1000원이다.
국민연금연구원은 전국 50대 이상 가구원이 있는 5331가구와 그에 속한 50대 가구원 및 그 배우자 8736명을 대상으로 소득과 소비, 노후 준비 상태 등을 설문해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
국민연금제도의 성숙에 따라 수급액도 점점 느는 추세지만, 전체 평균 수급액은 월 65만6494원에 불과할 정도로 많은 수급자가 연금만으로는 최소 노후 생활비조차 충당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지난해 11월말 기준 월 100만원 이상 수급자는 86만4398명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