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자회동 등 明진술 사실 아냐”
검찰, 명태균측 주장 진위파악
강혜경도 참고인 신분 또 조사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를 둘러싼 여러 의혹 중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이 제기된 오세훈 서울시장의 측근 인사들이 10일 처음으로 검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았다. 검찰은 명씨 관련 의혹 제보자이자 과거 함께 일했던 강혜경씨도 이날 다시 불러 조사했다.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이날 오후 1시30분 오 시장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강철원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과 박찬구 시 정무특보를 고소인·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앞서 강씨와 명씨 측은 2021년 4·7 보궐선거를 앞두고 오 시장의 후원자 중 한 사람인 김한정씨가 미래한국연구소의 미공표 여론조사 비용 3300만원을 명씨 측에 대신 건넸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미래한국연구소는 명씨가 사실상 운영한 여론조사 업체다. 김씨는 강씨 개인 계좌로 5차례에 걸쳐 송금했다고 한다.
해당 의혹이 불거지자 오 시장 측은 당시 오세훈 캠프가 명씨 측으로부터 여론조사 결과를 받아본 적이 없고, 김씨가 명씨 측에 돈을 보낸 사실을 몰랐다고 반박했다. 오 시장은 지난해 12월3일 명씨와 강씨 등을 사기와 허위사실적시 명예훼손 등 혐의로 검찰에 고소·고발하기도 했다. 이후로도 명씨는 변호인을 통해 오 시장 등을 겨냥한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강 전 부시장에 대한 조사는 5시간여 만에 끝났다. 검찰은 강 전 부시장을 상대로 그동안 명씨와 강씨 등이 주장한 내용들의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데 집중했다. 검찰은 특히 강 전 부시장을 상대로 김씨를 언제 처음 봤는지 등 두 사람의 관계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캐물었고, 강 전 부시장은 명씨와 강씨 주장을 대부분 반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강 전 부시장은 검찰에 출석하면서 취재진에게 “5% 사실과 95% 허위인 명씨의 진술 실체를 명확히 밝히는 자리(가 될 것)”라며 “95% 허위란 부분은 13번의 비공개 여론조사, (오 시장과 명씨의) 7번 만남, 김씨와의 3자 회동 이런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님에도 계속 (명씨 측이) 이야기해서 이 부분에 대해 명확하게 소명하려 한다”고 말했다.
명씨가 일명 ‘황금폰’ 포렌식을 통해 진실이 밝혀질 것이란 입장을 낸 데 대해 강 전 부시장은 “저도 원하는 바”라며 “처음 (명씨 측이 들고 온 미공표) 여론조사를 갖고 이야기했을 때 통화 내역과 카카오톡 메시지도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답했다.

강 전 부시장은 명씨가 오 시장과 전화 통화 또는 대면으로 여론조사 관련 대화를 나눴다고 검찰에 진술한 데 대해선 “제가 그 자리에 같이 있지 않아서 할 수 있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오 시장은 ‘그런 적 없다’고 얘기했다”고 전했다. 그는 “오 시장 입장에서는 명씨가 처음 와서 (먼저) 도와주겠다고 해서 도와달라고 한 것이지, 그게 여론조사인지 등은 잘 알고 있지 않다”며 “제가 시장보다 잘 알고 있어 저한테 같이 (이야기를) 해보라고 한 것 아니겠느냐”고 덧붙였다.
박 특보는 검찰 조사 전 중앙지검 청사 앞에서 “저희(오 시장 측)는 빨리 수사가 진행돼서 진실이 밝혀졌으면 좋겠다”며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기 위해 나왔다”고 말했다.
강씨는 5일 창원지검에 이어 이날 오후 2시부터 중앙지검에서 또 다시 조사를 받았다. 강씨 측은 해당 의혹과 관련해 기자들에게 “자체적으로 강씨 파일을 조사하다보니 조작이 안 된 여론조사, 비공표 여론조사의 경우 미리 조금 돌려보고 컨닝한 것이 아닌가 의심이 되는 정황이 있다”며 “여의도연구원에 문항이 전달된 경위 등을 추가로 진술할 것”이라고 밝혔다.

검찰 수사팀은 지난달 17일 창원지검에서 중앙지검 소속으로 바뀐 뒤 해당 의혹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11일 오전 10시부터 창원구치소에 수감 중인 명씨를 창원지검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수사팀은 지난달 27∼28일과 이달 6∼7일 2차례, 4일간 명씨를 조사했다. 지난달 26일에는 김씨 자택과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했고, 27일엔 김씨를 중앙지검으로 불러 조사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