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계속해서 사라지는 ‘3%대 예금’…증권사 CMA도 마찬가지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3-10 11:56:13 수정 : 2025-03-10 11:56:12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국은행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인하한 이후 주요 은행에서 정기예금 금리를 연이어 낮추고 있다. 

 

10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요 정기예금 상품 최고 금리(1년 만기 기준)는 연 2.9~3.3%다. 우대금리가 포함되지 않은 기본금리는 2.4%∼2.9% 수준이다.

 

사진=연합뉴스

직전 주까지 3%대를 지키던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은 이날 기준 최고 금리 2.95%로 조정되며 0.05%포인트 하락했다.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도 최고 금리가 2.95%에서 2.9%로 0.05%포인트 하락했다.

 

농협은행을 제외한 5대 은행의 주요 예금상품이 모두 2%대로 내려온 것이다.  

 

KB국민은행 ‘KB스타 정기예금’, 하나은행 ‘하나의 정기예금’ 등은 모두 2.95%로 최고 금리가 지난달 말 2%대로 하락했다.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편인 인터넷은행 상품도 비슷하다. 

 

토스뱅크 ‘토스뱅크 먼저 이자 받는 정기예금’의 금리(3‧6개월 만기)는 지난 7일 기존 연 3%에서 2.7%로 0.3%포인트 내렸다. 

 

케이뱅크는 ‘코드K 정기예금’ 1년 만기 금리를 지난달 2.9%로 내렸고, 카카오뱅크도 정기예금 1년 만기 금리를 2.9%로 낮춘 바 있다.

 

한때 3%대 중반 수준의 금리를 챙겨주던 증권사 종합자산관리계좌(CMA) 상품에서도 이제 연 3%대 금리를 보기 어려워졌다. 미래에셋증권이 지난 5일 ‘CMA 환매조건부채권(RP) 네이버 통장’ 금리를 0.3%포인트 내려 2.75%로 조정하면서 3%대 CMA 상품은 자취를 감췄다. 

 

한때 RP·종금형보다 높은 금리를 주던 발행어음형 CMA는 이미 예전에 2%대 중반으로 내려왔다. 한국투자증권(2.45%), KB증권(2.40%), 미래에셋증권(2.40%), NH투자증권(2.30%) 등이다.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차주영 '시크한 매력'
  • 차주영 '시크한 매력'
  • 수지 '청순 대명사'
  • 에스파 윈터 '완벽한 미모'
  • 한소희 '오늘도 예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