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 창릉, 하남 교산 등 3기 신도시 뉴홈(공공분양주택) 중 3년 내 입주 가능한 물량은 총 1만899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6∼2027년에는 심각한 주택 공급 부족이 우려되지만, 이를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는 3기 신도시 공공주택의 절반 이상은 2030년 입주 예정이어서 주택 공급의 급격한 부족 현상은 당장 해결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에게 제출한 ‘3기 신도시 연도별 입주물량 계획’에 따르면, 3기 신도시 내 공공주택 입주는 내년 12월 고양창릉에서 시작된다. 첫 입주 규모는 1285가구다.
2027년에는 고양창릉(2089가구), 남양주왕숙(3905가구), 부천대장(2505가구), 하남교산(1115가구) 등 총 9614가구가 입주를 시작한다. 올해부터 3년 동안 입주하는 물량은 총 1만899가구로, 2028년부터는 연간 1만가구 이상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LH는 2028년에 1만1462가구, 2029년에 1만6403가구를 입주시킬 계획이다.
그러나 전체 뉴홈 물량의 55%인 4만8337가구는 2030년 이후에나 입주가 가능하다.
3기 신도시의 주택 18만6000가구 중 47%인 8만7101가구는 공공주택이며, 나머지 53%는 민간 물량이다. 그러나 민간 물량까지 포함하더라도, 2026∼2027년의 공급 부족을 완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공공주택도 LH의 사업이 예상대로 진행될 경우 가능한 물량이다. 하지만 현재 공사비 상승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 등으로 사업 추진이 지연될 경우, 입주 역시 늦어질 가능성이 크다. 또한, 민간 건설사들도 부동산 PF 부실 문제로 인해 신규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어 공급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주택 공급의 중요한 부분은 신도시·공공택지 개발, 재건축·재개발사업, 민간 주택사업 순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서울의 주요 재건축 지역인 반포, 압구정, 잠실 등에서만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민간 건설사들은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 다른 지역에서의 사업은 적극적으로 추진하지 않고 있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3기 신도시만으로는 수도권 주택 공급을 충분히 뒷받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용적률 상향과 자족용지·공원용지 축소를 통해 3기 신도시의 주택 공급 물량을 늘리고, 재건축 특례법 제정을 통해 정비사업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의 방안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시의 입주 물량은 올해 한국부동산원과 서울시가 추산한 대로 4만8000가구로, 10년 평균인 3만8000가구보다 많은 수준이다. 그러나 내년 서울의 입주 물량은 2만가구대로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