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의협 “이대론 의대교육 불가… 의료개혁 논의부터 멈춰라”

입력 : 2025-03-08 08:00:00 수정 : 2025-03-07 17:26:57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설익은 의료개혁 과제 논의를 중단하라”

정부가 의대생 전원 복귀를 전제로 내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는 방안을 발표하자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정상적인 의대교육이 불가능하다며 의료개혁 중단을 재차 요구했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뉴시스

 

의협은 7일 입장문을 내고 “오늘 처음으로 교육부에서 24, 25학번 교육과 수련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면서 “정부는 의대국까지 신설하면서 의대 교육에 대해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고 했으나 결국 각 의과대학에 교육을 맡겨 놓은 형국임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의협은 올해 의학교육 정상화 방안(마스터 플랜)을 마련해 의대 교육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정부에 요구해왔다. 지난해 의대 증원에 반대해 휴학한 의대생과 신입생이 올해 한꺼번에 수업을 듣게 되면 기존의 두 배가 넘는 7500명 이상이여서 제대로 된 의학 교육이 불가능하다는 이유다.

 

의협은 “지금 제시된 내용으로는 교육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기존 입장은 변화되기 어렵다”면서 “정부가 제시한 교육방안에 대한 평가는 당사자인 의대생들이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이날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제안한 교육 모델을 기반으로 각 의대가 계획을 수립하면 지원하겠다는 ‘의학교육 정상화 방안’을 밝혔다. KAMC는 24학번이 25학번보다 한 학기 먼저 졸업하는 모델 3개와 2030년 2학기 이후 두 학번이 동시에 졸업하는 모델 1개를 제안했다.

 

의협은 “근거 없는 의대 정원 정책 결정의 부당함과 부적절함을 사과하지 않는 것에 대해 실망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부당한 정책에 결정적 역할을 한 인사에 대해 문책이 동반된 사과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의료 정상화를 위해서는 단순히 2026년 의대정원을 논하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된다”면서 “설익은 의료개혁 과제 논의를 중단하고 공론의 장으로 옮겨 지속가능한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위해 새로운 논의를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크리스탈 '매력적인 미소'
  • 크리스탈 '매력적인 미소'
  • 기은세 ‘빛나는 등장’
  • 레드벨벳 아이린 '완벽한 미모'
  • 이시안 '청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