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진 “나이, 인공 와우 수술 결과에 별다른 영향 없어
고령 환자여도 뇌 건강하다면 안심하고 치료 받아도 돼”
뇌 건강 상태로 난청 환자의 인공와우 이식 수술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배성훈 교수, 김준엽 전 한양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70세 이상의 인공와우 이식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 뇌 MRI를 통해 소뇌와 청력 회복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밝혔다.
난청은 고령 인구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삶의 질 저하뿐 아니라 우울증과 치매 위험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 인공와우 이식은 고도난청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고령을 이유로 수술을 주저하거나 좋은 결과를 기대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무엇보다 청력 특성상 환자마다 개인차가 있어 수술 성공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가 부족했다.
연구팀은 청력과 소뇌의 연관성에 주목했다. 소뇌는 전통적으로 운동 기능과 균형 유지에 주로 관여한다고 알려졌지만, 최근 소뇌가 언어 지각과 같은 인지 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다양한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연구팀은 소뇌에서 언어 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Crus I’영역의 회백질 부피를 정밀 측정해 단음절, 이음절 단어 및 문장 인식을 테스트했다.


그 결과 소뇌 Crus I 부위의 회백질이 줄고 위축된 환자일수록 수술 후 언어 인식 능력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나이는 인공와우 이식 결과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특히 기존에 수술 결과 예측에 중요하게 여겼던 난청 지속기간(Duration of Deafness, DoD)보다 소뇌의 위축 정도가 수술 예후에 더 영향이 크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진은 인공와우 이식 성공 가능성을 미리 평가할 수 있어 환자 선별과 수술 결과 예측에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배 교수는 "앞으로 수술 전 뇌 MRI를 통해 소뇌 Crus I의 상태를 확인해 환자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됐다. 나이는 인공와우 수술의 결과에 별다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온 만큼 고령 환자도 안심하고 적극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