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김동연, 李 면전에서 “3년 전 약속 지켜야…말 바꾸기 안돼”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3-01 08:00:00 수정 : 2025-03-01 02:43:41

인쇄 메일 url 공유 - +

김동연, 이재명 만나 “개헌은 블랙홀 아냐…민주당 신뢰의 위기”
“감세 포퓰리즘 안타까워”…李 ‘우클릭’ 비판…불체포특권 언급
‘수권정당’ 민주당의 한계·위기 거론…광범위한 연대 주장한 듯
SNS에선 “지금이 대한민국을 ‘리셋’할 적기…이대로 미래 없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만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면전에서 “이대로는 정권교체가 가능한지 우려된다”며 28일 작심 발언을 했다. 김 지사는 3년 전 대선에서 후보 단일화를 전제로 이 대표와 약속한 ‘임기 단축 개헌’ 등을 언급하며 “말 바꾸기를 하면 안 된다”고도 했다. “개헌은 블랙홀이 아니다”라며 맹공을 펼친 그의 발언은 ‘신뢰 회복’, ‘기득권 포기’ 등에 방점이 찍혔다. 이런 주장은 언론에 공개된 모두발언 7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에 이 대표는 “할 말을 다 하셨느냐”며 “국정 문제에 노심초사하시는 듯하다”고 받아넘겼다. 두 사람의 만남은 모두발언을 포함해 50분에 불과했고, 김경수 전 경남지사를 시작으로 이어진 당내 비명(비이재명)계 잠룡들과 이 대표의 만남도 막을 내렸다. 

28일 오후 김동연 경기도지사(왼쪽)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만나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이날 쏟아진 김 지사의 발언은 그동안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지역강연 등에서 해온 말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빛의 혁명·연대 △개헌과 제7공화국 출범 △개헌을 통한 권력구조 개편·대통령 임기 단축·경제 민주화 △민주당 신뢰의 위기 △민주당 정체성 유지 등이었다. 

 

특히 그는 “7공화국을 만들기 위한 개헌이 논의조차 되지 못하는 상황이 도저히 이해되지 않고 유감”이라며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년 전에 얘기한 개헌을 완수하는 게 민주당의 책무”라고 말했다. 또 이 대표와 후보 단일화에 합의했던 2022년 대선 당시를 거론하며 “개헌은 3년 전 우리가 국민과 했던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개헌 논의에 소극적인 이 대표를 겨냥한 발언들로 풀이된다.

 

김 지사는 그러면서 최근 이 대표와 민주당이 상속·소득세 등의 감세 가능성을 언급하며 ‘우클릭 논란’이 불거진 것을 지적했다. 이 대표의 “민주당은 중도보수정당” 발언과 맞물린 셈이다. 

 

그는 “지금 정치권에서 감세 포퓰리즘 경쟁이 벌어져 안타깝다”며 “지금은 감세가 아닌 재정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한 때이고, 증세 없이 복지가 불가능한 만큼 필요한 부분에 대한 증세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사진=김동연 지사 페이스북 캡처

이 대표는 김 지사의 말을 다 듣고 난 뒤 “할 말 다하셨나”라며 “같은 민주당 당원으로서 국민이 안심하고 나라가 발전할 방향이 무엇인지 말씀 나눠보겠다”고 짧게 발언했다.

 

비공개 회동을 마친 김 지사는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실·기획재정부·검찰 개혁, 로펌을 포함한 법조 카르텔에 대해 얘기했다”며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및 면책특권 문제, 교섭단체 요건 완화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냈다”고 설명했다.

 

앞서 김 지사는 이날 이 대표와의 만남을 앞두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대통령실·기획재정부·검찰, 대한민국 3대 권력기관의 기득권을 깨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가 다시 만날 대한민국 기득권공화국이 아니라 기회공화국이어야 합니다’란 제목의 글에서 “다음 대통령은 부처가 있는 세종시에서 업무를 시작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통령실은 수석실을 폐지하고 기존의 5분의 1 수준인 100여명으로 슬림화해야 한다. 부처 위에 군림하는 상왕실이 아니라 프로젝트 조직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재부·검찰 역시 해체 수준의 개편이 필요하다며 정치 교체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2022년 대선 단일화 과정에서 이 대표와의 ‘정치 교체’ 관련 약속을 언급하며 국회의원 소환제 도입과 불체포특권·면책특권 폐지, 대통령 결선투표제 도입, 교섭단체 구성 기준 10석으로 완화, 정당 보조금 폐지 등 정치 기득권 타파도 주장했다. 

 

김 지사는 “권력기관, 공직사회 그리고 정치에 만연한 ‘기득권 체제’가 이대로 이어진다면 대한민국 30년, 앞으로 미래는 없다. 공고한 기득권의 민낯을 보인 지금이 바로, 대한민국을 ‘리셋’할 적기”라고 말했다.


수원=오상도 기자 sdo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