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 활동이 조업일수가 늘어났음에도 2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로 소매 판매는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이 28일 발표한 ‘KOSI 중소기업 동향(2025년 2월호)’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중소제조업 생산은 전년동월 대비 0.7% 감소했다. 조업일수 증가(0.5일↑)와 수출 증가 및 부품사 파업 종료 등으로 ‘반도체’, ‘자동차’ 생산이 증가했지만 ‘1차금속’, ‘전기장비’ 등에서 줄어든 탓이다. 중소서비스업 생산은 ‘예술‧스포츠‧여가’에서 줄었지만 ‘운수‧창고’, ‘금융‧보험’ 등이 늘며 0.6% 증가 전환했다.

지난해 12월 소매판매액은 55조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55조9000억원) 1.6% 감소했다. 같은 해 10월 -0.9%, 11월 -1.4%에 이어 3개월 연속 감소세다. 소매판매액은 편의점(0.9%), 전문소매점(1.7%) 등에서 판매가 늘었지만 대형마트(-7.5%), 승용차·연료소매점(-6.7%) 등에서 줄며 감소세를 이어갔다.
올해 1월 중소기업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2만1000명 늘어난 2469만2000명을 기록했다. 규모별로 ‘1~4인 업체’ 취업자 수는 전년 같은 달보다 2만2000명 증가했고 ‘299인 이하 업체’는 1000명 감소했다.
업종별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각각 3.6%, 6.4% 늘며 증가 전환했고 건설업(-1.8%)은 감소 폭이 축소됐다. 기술 기반 창업기업 수는 지식기반 서비스업(16.9%)을 중심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6% 증가한 1만8563개를 기록했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고물가, 고금리 지속에 따른 소비 여력 약화로 소매판매는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중소기업 고용도 소폭 증가에 그쳤다”며 “정책당국은 경기 불안 요인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소비 촉진 정책을 추진해 내수경제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