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형 키즈카페 이용 대상 확대… 타지 사는 서울 직장인들도 혜택

입력 : 2025-02-28 06:00:00 수정 : 2025-02-28 02:30:21
박진영 기자 jyp@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市 ‘규제 철폐 20호’

‘생활인구’ 적용해 수혜자 늘려
그동안 서울시민 동반 때 입장
28일 2곳 추가 개관 총 132곳
3분의1 수준 이용료 인기 요인

지난 19일 오후 찾은 서울 동작구 서울가족플라자 지하 2층의 ‘서울형 키즈카페’ 시립 1호점. 방학을 맞아 아이 20여명이 뛰놀고 있었다. 서울시가 직접 운영하는 이곳은 일반 키즈카페와 달리 번잡하지 않았다. 통로가 널찍하고 이용 정원을 33명으로 제한해서다. 높은 층고 때문인지 아이들 웃음소리가 더 멀리 울려 퍼지는 듯했다.

시립 1호점의 이용료는 기본 2시간에 아동 한 명당 5000원. 민간 키즈카페의 3분의 1 수준이다. 조혜은 시립 1호점 센터장은 “서울시 ‘우리동네키움포털’에서 예약이 열리면 거의 바로 마감되곤 한다”며 “초등학교 저학년까지 대상인 데다 안전·위생 관리를 체계적으로 하니 입소문을 듣고 한번 오면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서울 이외 지역 주민은 서울 시민을 동반한 경우 예외적으로 서울형 키즈카페를 이용할 수 있다. 4월부터는 서울에서 살진 않지만 대부분 시간을 보내는 직장인 등 생활권자도 이용할 수 있게 바뀐다. ‘서울 생활인구’ 개념을 적용한 오세훈 서울시장의 규제 철폐 20호다.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형 키즈카페는 시 또는 25개 자치구별로 설치·운영 또는 이용자 안전·위생·편의 등 시의 서울형 인증을 받은 놀이시설을 뜻한다. 2022년 5월 종로구 구립 혜화동점 개관을 시작으로, 130개소가 운영 중이다. 시립 1호점은 2023년 11월 문을 열었다. 구립이 70곳으로 가장 많고 민간 55곳, 시립은 5곳이다. 28일엔 양천구 구립 신월3동점과 목4동점이 개관해 2곳 더 늘어난다. 이용 대상은 0∼9세 아동, 초등학교 3학년까지다. 시는 이 범위 내에서 공간 면적, 주변 인구 특성 등을 감안해 시설별로 정하게 하고 있다.

저렴한 이용료가 서울형 키즈카페의 가장 큰 특징이다. 아동 기준으로 시립은 5000원, 구립은 3000원 이내다. 민간은 상이하다. 다만 2자녀 이상 다자녀 가족, 기초생활수급자나 장애인, 한부모가족 등 취약 계층은 면제된다.

이용 대상이 확대되는 건 시가 ‘서울로 출퇴근하거나 통학하는 수도권 주민 모두 서울 시민’이라는 오 시장의 시정 철학으로 서울 생활인구를 규제 철폐에 도입한 결과다. 서울 생활인구란 시와 KT가 공공 빅데이터와 통신 데이터로 추계한 서울의 특정 지역, 특정 시점에 존재하는 모든 인구를 말한다. 지난 22일 기준 일평균 1058만명으로 추산된다.

‘서울형 키즈카페를 이용할 수 있게 해 달라’는 경기도 등 다른 지역 주민들 요청도 많았다는 전언이다. 시 관계자는 “서울 소재 직장이나 학교에 소속된 서울 생활권자는 서울에서 생업 또는 학업 활동을 하며 서울에 경제적·문화적으로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연내 200개소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예산도 392억200만원으로, 지난해(283억5600만원)보다 대폭 늘렸다. 시는 예약 시스템 정비 등 준비 과정을 거쳐 4월 중 이용 대상을 확대한다. 향후 이용자가 서울 생활권자인지는 사원증이나 재직·재학 증명서, 서울시민카드 앱 등으로 확인할 예정이다. 다만 서울 생활권자는 서울 시민과 달리 다자녀 가족 이용료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시는 서울형 키즈카페 외에도 시민 삶과 직결된 분야는 거주지 요건을 과감히 풀어 일상 혁명을 시도 중이다.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 ‘기후동행카드’, 서울형 헬스 케어 ‘손목닥터 9988’, 휴대용 안심벨 ‘헬프미’가 대표적이다.

시 관계자는 “시민이 체감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생활 밀착형 규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개선안을 마련하는 것이 규제 철폐 100일 추진 계획의 핵심”이라며 “서울 생활인구 개념을 규제 철폐에 도입한 것은 시민들 불편을 해소하고자 하는 진정성의 산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 추진 과제가 제대로 실행되는지 면밀히 검토하고 실행 과정도 체계적으로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진영 기자 jy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