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민 10명 중 8명 “조력 존엄사 찬성”

입력 : 2025-02-23 19:46:20 수정 : 2025-02-23 19:46:19
이지민 기자 aaaa3469@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92% “임종기 연명의료 중단 의향”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 의사 81%
‘통증 없는 죽음이 좋은 죽음’ 꼽아

조력 존엄사 합법화에 관해 국민 10명 중 8명꼴로 찬성 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웰다잉 논의의 경향 및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의사 조력 자살’로도 불리는 조력 존엄사에 찬성하는 비율이 82.0%로 나타났다. 찬성 응답자들은 ‘무의미한 치료를 계속하는 것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41.2%), ‘인간은 누구나 자기 죽음을 결정할 권리가 있기 때문’(27.3%), ‘죽음의 고통을 줄일 수 있기 때문’(19.0%) 등을 이유로 꼽았다. 설문은 지난해 4∼5월 성인 남녀 102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조력 존엄사는 환자가 원할 경우 의료진 도움을 받아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도다. 현재 국내법에서는 허용하지 않는다.

응답자의 91.9%는 말기 환자가 됐을 때 연명의료결정제도에 따라 연명의료를 중단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회복 가능성이 없는 삶은 의미가 없는 것 같아서’(68.3%), ‘가족에게 부담이 되고 싶지 않아서’(56.9%) 등이 이유였다. 국내에서는 2018년 2월부터 연명의료결정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19세 이상 성인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나 임종기 환자의 연명의료계획서를 토대로 심폐소생술, 항암제 투여, 인공호흡기 착용 등의 연명의료를 시행하지 않거나 중단할 수 있다.

말기·임종기 환자들의 통증 완화 등을 위한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81.1%였다. 성별로 보면 여성(84.4%)이 남성(77.6%)보다 응답 비율이 높았다.

좋은 죽음을 준비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서비스로는 ‘생애 말기 발생할 수 있는 통증 완화’(62.7%)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생애 말기 환자의 치료 비용 지원’(56.8%)이 뒤를 이었다.

연구진은 “문헌 조사와 설문조사, 전문가 자문 등에서 공통으로 도출된 키워드는 ‘통증 조절’과 ‘자기 결정권 존중’이라며 통증 사각지대 환자 발굴과 호스피스 인식 개선 등을 제언했다.


오피니언

포토

41세 유인영 세월 비껴간 미모…미소 활짝
  • 41세 유인영 세월 비껴간 미모…미소 활짝
  • 나나 매혹적 눈빛…모델 비율에 깜짝
  • 비비업 킴 '신비한 매력'
  • 한선화 '코믹연기 기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