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석유화학 역사상 최대 규모인 9조원을 투입하는 에쓰오일 샤힌 프로젝트가 공정률 55%를 넘겼다. 내년 상반기면 준공할 예정이다.
에쓰오일은 17일 울산에 건설 중인 샤힌 프로젝트 설계·조달·시공(EPC) 공사의 공정 진행률이 최근 55%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내년 하반기에 상업 가동을 시작하면 에틸렌(180만t), 프로필렌(77만t), 부타디엔(20만t), 벤젠(28만t) 등 기초유분을 생산하며, 그중 에틸렌을 원료로 플라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합성소재 생산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LLDPE 88만t, HDPE 44만t)을 자체 생산할 계획이다.
이렇게 생산한 기초유분은 국내 석유화학 다운스트림 업체들에 주로 배관을 통해 공급된다. 에쓰오일은 이를 위한 신규 배관망 인프라도 구축하고 있다.
에쓰오일은 샤힌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울산 온산국가산업단지 내 에쓰오일 울산컴플렉스에 인접한 약 48만㎡의 부지에 TC2C(원유를 직접 석유화학 원료로 전환하는 시설), 스팀 크래커(에틸렌 생산시설), 저장설비 등을 건설 중이다. 또 울산 울주군 당월지역 약 40만㎡ 부지에 스팀 크래커에서 생산한 에틸렌을 원료로 고부가가치 폴리머 제품을 생산하는 폴리머 공장도 건설하고 있다.

에쓰오일은 모회사인 사우디 아람코 원천기술로 개발된 TC2C 신기술을 샤힌 프로젝트에 세계 최초로 도입해 원가 경쟁력과 에너지 효율성을 높인다. TC2C는 원유에서 생산하는 나프타 수율을 기존 대비 3∼4배 높여 석유화학 원료를 정제율을 높였다. 그간 소규모 파일럿 플랜트 시현은 있었으나 대규모 상용화는 처음이다.
석유화학 산업은 글로벌 수요 둔화와 중국의 대규모 설비 증설 및 공급 과잉으로 어려움이 극심하다. 에쓰오일은 이를 타개하기 위해 울산·온산 국가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석유화학 기업과 잇달아 안정적인 원료 공급을 위한 장기협약을 체결하고 석유화학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힘쓸 예정이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다운스트림 업체에 적시에 안정적으로 원료를 공급해 밸류체인(가치사슬) 내 운송비 절감 효과를 제공하고, 경쟁력 있는 석유화학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장기적인 국가 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에쓰오일은 에너지 효율 제고와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150㎿ 규모의 천연가스 자가발전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다. 발전 시설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전량 샤힌 프로젝트 시설 가동용으로 공급해 운영 안정성을 높이고, 외부로부터 들여오는 전기를 대체함에 따라 비용 절감과 전기수요 상황에 따른 유연한 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자가 발전시설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바로 배출하지 않고 폐열 회수 보일러를 통해 회수, 고압스팀을 생산해 공장 운전용으로 재활용할 예정이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샤힌 프로젝트의 에너지 저감 및 탄소저감 신기술, 운영 효율성 수준을 고려하면 국가 경제의 중추 역할을 담당해온 중화학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근원적 경쟁력을 제고하는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