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안보청 내부는 물론 의회도 ‘발칵’
뒤늦게 사태 파악… 취소·복직 추진 불구
일부 연락 안 돼… “업무 제대로 모른 듯”
美 해고 통보 수습 공무원 1만명 육박
WP “시민권 보호 부서 등 우선 대상”
미국 국가 안보와 관련된 전략·전술 핵무기 비축량을 관리·감독하고 전 세계 대량살상무기(WMD) 확산을 방지하는 임무를 맡은 에너지부 산하 국가핵안보청(NNSA) 직원들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의 연방정부 구조조정 칼바람에 휩싸였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들의 업무가 무엇인지 뒤늦게 알아차린 뒤 부랴부랴 해고 취소와 복직을 추진하고 있으나 일부는 연락이 닿지 않고 있다.

CNN방송은 14일(현지시간) 4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에너지부 인원 감축의 일환으로 NNSA 전체 직원 1800명 중 300여명에게 전날(13일) 해고 통보를 하고 정부 이메일 계정도 박탈했다고 보도했다.
에너지부 대변인은 해고 대상자가 ‘행정·사무 직원 50명 미만’이라고 해명했으나, 소식통들은 핵무기 제조 시설에서 계약자 감독 및 핵무기 검사 업무를 담당한 직원마저 해고 통보를 받았다고 반박했다. 핵무기 제조 요건 및 지침을 작성하는 NNSA 본부 직원들도 인원 감축 바람을 피해가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고자 명단에 포함된 이들은 대부분 1∼2년간인 수습 기간이 아직 끝나지 않은 직원들이었다. 수습 직원 중에서는 전국의 핵무기를 안전하게 운반하는 일을 하는 보안운송국 직원만 남게 됐다고 내부 관계자가 전했다. 정권 교체 후 에너지부 고위직을 차지한 정무직 당국자들은 인사 담당자들에게 ‘저조한 성과’를 해고 사유로 삼으라고 지시했으며, 인사과 직원 2명은 이 같은 압박을 받자 좌절감을 느끼고 사표를 제출했다고 한다.
해고 소식은 NNSA 내부는 물론 의회까지 발칵 뒤집어놨다. 연방의회 관계자는 “상원 의원들이 에너지부를 방문해 크리스 라이트 장관에게 우려를 표명했다”며 “핵 억지력은 미국 안보와 안정의 근간인데, NNSA가 이를 유지·관리한다는 사실을 에너지부가 진짜로 몰랐던 것처럼 보여 의회가 질겁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해고의 문제점을 뒤늦게 인지하고 통보 하루 만인 14일 입장을 180도 뒤바꿨다. 테리사 로빈스 NNSA 청장 직무대행은 내부 회의에서 “해고를 철회하라는 지시를 받았다”며 “그들의 직업은 이제 안전할 것으며, 기관 내부망 접근권도 복구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빈스 대행은 이어 “해고 통보를 받은 직원 대부분이 복귀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으나, 해고된 인력 상당수는 연락이 닿지 않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다른 부처·기관의 근속 1년 미만 수습 직원들에 대해서도 해고하라는 지시가 떨어졌다고 AP통신과 워싱턴포스트(WP) 등이 전했다. 부처별 인원을 모두 합하면 총 20만명가량의 수습 직원 중 9500명 이상이 대상이 될 것으로 집계된다. 이들 중 일부는 “30분 내에 건물을 나가라”는 통보를 받았다고 WP가 전했다.
이 같은 마구잡이식 구조조정으로 각종 부작용과 반발이 속출하는 가운데 DOGE는 연방정부에서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을 폐기하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명령을 이행하기 위해 6개월짜리 단계별 계획을 수립했으며, DEI 정책을 직접 담당하지 않더라도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들을 휴직 조치하고 궁극적으로는 해고할 방침이다.
WP가 입수해 15일 공개한 내부 문건에 따르면 연방정부 내 직원 시민권 보호, 고용 차별 관련 고충 처리 부서가 우선적 해고 대상이며 재향군인 사무소와 보건복지부 내 소수인종 건강 담당 부서도 감축 대상에 포함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