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계 전문가 과제 도출 머리 맞대
지구온난화로 북극의 해빙이 가속화되면서 북극항로 개척을 통한 세계 무역 패권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부산시가 북극항로 개척에 본격 도전장을 내밀었다. 북극항로가 개척되면 부산항은 북극항로 출발지로, 유럽과 아시아, 미주를 연결하는 허브항 지위를 확보할 수 있다.
13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12월 북극항로 개척 전담조직(TF)을 구성하고, 이날 시청에서 첫 회의를 개최했다. 북극항로 개척 TF는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을 단장으로, 선사·학계·연구기관·공공기관·언론계 전문가 19명으로 구성됐다.
분야별 국내외 동향과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북극해 항로 운항 경험이 있는 선사로부터 다양한 가능성을 들은 뒤 향후 추진 방향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미래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한 실현 과제 도출과 정책과제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날 회의는 김태유 서울대 명예교수의 ‘북극항로 거점항구 유치 필요성과 전략’이라는 주제의 기조강연에 이어 북극항로 관련 세계 각국의 동향, 운항 경험 발표, TF 위원들 간의 자유토론으로 진행됐다. 시는 그동안 정부 주도로 추진됐던 북극항로 시범 운항사업 사례들을 참고해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추진 방향을 구체화하고 관련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올해 안으로 북극항로 대토론회를 개최해 분야별 전문가와 다각적인 방안을 논의하고 정부의 지원을 이끌어낼 방침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부산항은 세계 2위 환적항이자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기준 세계 7위 항만”이라며 “다가오는 북극해 시대를 대비해 다시 한 번 대한민국 경제의 주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선제적인 움직임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