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대전·충남, 35년 만에 행정통합 추진

입력 : 2024-11-21 19:42:55 수정 : 2024-11-22 01:54:43
대전·홍성=강은선·김정모 기자 groove@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2026년 4월 지방선거 전 출범 목표
“광역생활권 구축… 수도권 일극 극복”

대전시와 충남도가 1989년 분리 35년 만에 행정통합을 추진하기로 했다. 앞서 행정통합을 합의한 대구시·경북도처럼 2026년 4월 지방선거 전 출범이 목표다. 대전·충남이 통합하면 인구 360만명, 지역내총생산(GRDP) 190조원 규모의 초광역경제권을 구축하게 된다.

 

이장우 대전시장(오른쪽 두 번째)과 김태흠 충남지사(왼쪽 두 번째)가 21일 옛 충남도청사에서 행정구역 통합 추진을 위한 공동선언문에 서명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홍성현 충남도의회 의장은 21일 대전 중구 선화동 옛 충남도청사에서 통합 지방자치단체 출범을 위한 공동 선언문을 발표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공동선언을 통해 “대전시와 충남도는 수도권 일극 체제를 극복하고 지방 소멸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같은 역사와 공동체 의식을 가진 양 시·도의 행정 구역통합을 추진함으로써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광역경제생활권을 구축하고, 주민의 복지를 증진할 필요가 있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한다”고 밝혔다.

 

두 지자체는 통합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국가 사무나 재정 이양을 통해 연방국가의 주(州)에 준하는 실질적인 권한과 기능을 확보키로 했다. 또 원활한 통합을 위해 ‘행정구역통합 민관협의체’(가칭)를 구성한 뒤 통합법률안을 마련해 두 시·도에 제안한다. 통합안 확정을 위해 시·도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할 방침이다.

 

두 지자체가 통합을 추진하는 것은 1989년 대전시가 직할시 승격으로 충남도에서 분리된 지 35년 만이다. 대전직할시는 1995년 대전광역시로 명칭이 변경됐고, 충남도청은 2013년 대전에서 내포신도시로 이전했다. 

 

행정통합이 실현되면 대형 국책사업 및 투자 유치를 위한 두 지자체 간 소모적 경쟁이 줄어들고 자치단체 경계를 넘어서는 교통망, 공공시설 구축 등 광역행정 수요에 긴밀히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생활권과 행정구역의 불일치로 인한 주민 불편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대전의 연구개발 역량과 인적자본이 충남의 제조업 기반 시설과 융합하면 시너지를 끌어낼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이 시장은 “한뿌리에서 시작한 대전과 충남이 통합해 경쟁력을 갖추면 대한민국이 수도권 일극 체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통합 추진 과정에서 시·도민들의 의견을 충실히 듣고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국가적인 현안을 지방이 주도적으로 해결해 나가기 위해서는 광역 단위의 행정 체제 개편이 필요하다”면서 “양 시·도가 통합하면 대한민국 최고 투자 유망 지역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