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이태원 참사 2주기, 대한민국은 얼마나 안전해졌나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4-10-30 00:13:40 수정 : 2024-10-30 00:13:4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서울=뉴스1) 박세연 기자 = 이태원참사 유가족들이 28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골목 '10.29 기억과 안전의길'에서 이태원 참사 2주기 빌보드 개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10.28/뉴스1

도심에서 핼러윈을 즐기러 나온 시민 159명이 숨지고 195명이 다친 ‘이태원 참사’가 어제로 2주기를 맞았다. 이태원 참사는 국가 재난 안전 시스템의 총체적 부실과 안전 불감증의 민낯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인재였다. 국회 의원회관에서는 이날 우원식 국회의장과 여야 지도부가 희생자들을 애도하고 재발 방지와 진상 규명을 한목소리로 다짐했다. 국회가 사회적 재난에 대해 추모제를 공식 주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1주기 추모식이 여야 간 정쟁으로 ‘반쪽행사’에 그친 것에 비하면 긍정적인 변화가 아닐 수 없다. 이태원 참사는 발생 두 해가 지났지만, 여전히 진실 규명 작업과 책임자 처벌이 진행 중이다. 지난 5월에서야 이태원 참사 특별법이 만들어졌고, 이태원 참사 특별조사위원회는 사고 2년이 지난 지난달에서야 출범했다. 정부·지자체·경찰의 총체적 부실이 만든 참혹한 사고임에도 책임 회피와 늑장 수사로 최근에서야 고작 일선 경찰관에 대한 형사책임을 묻는 판결이 내려졌다.

갈 길이 멀다. 참사 이후 뒤늦게 주최자가 없는 행사의 안전 관리 책임을 지자체장에게 지우는 법 개정이 이뤄졌지만 만시지탄이다. 국가·지자체의 과실은 인정되지 않았고, 유족과 생존자들은 여전히 2년 전의 트라우마에서 고통받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어제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 진정한 추모”라고 했다. 말에 그쳐선 안 될 것이다.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안전 불감증과 생명 경시 풍조는 우리 사회를 불안하게 만드는 독버섯이다. 가을철 크고 작은 축제가 열리면서 가슴을 쓸어내리는 경우가 한두 번이 아니다. 지난 25일 서울 성수동의 한 명품 브랜드 행사에는 수백명의 인파가 한꺼번에 몰리자 안전사고 우려로 행사가 조기 종료되는 일이 벌어졌다. 26일 광주광역시 충장로에서 열린 상권 활성화 행사에도 인파가 몰려 경찰이 해산시키는 일까지 일어났다.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안전관리 인력을 충분히 배치하지 않고, 문화행사라는 이유로 경찰에 사전 협조를 요청하지 않은 구청의 안일한 대응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태원 참사 2주기가 됐지만 안전한 나라가 됐는지 의문이다. 더는 후진국형 참사가 되풀이돼선 안 될 일이다. 사회 안전 매뉴얼에 허점이 없는지 꼼꼼히 살펴야 한다. 관련 당국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사고 예방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고, 국민도 경각심을 갖고 안전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규영 '아름다운 미소'
  • 박규영 '아름다운 미소'
  • 뉴진스 해린 '시크한 매력'
  • 한소희 '완벽한 미모'
  • 박보영 '깜찍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