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경남 거제, 청년 비중 가장 빨리 줄었다

입력 : 2024-09-30 21:00:00 수정 : 2024-09-30 19:31:17
이지민 기자 aaaa3469@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10년간 청년 비율 31%→20%로
경북 칠곡·울산 동구 등도 급감
전국 20∼30대 168만명 감소
전북, 청년 인구의 19% 타지로

전국 228개 기초지자체 중 청년 인구(20∼39세) 비율이 가장 빠르게 줄어든 곳은 경남 거제로 나타났다. 거제의 청년층 비율은 2014년 31.1%로 전국 평균(28.2%)을 웃돌았으나 지난해 19.8%로 전국 평균(24.9%)을 한참 밑도는 지역으로 인구 구조가 바뀌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30일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 가을호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청년층의 이동과 지역의 인구유출’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1월부터∼2023년 12월까지 10년 동안 전국에서 20∼39세 청년 인구는 168만명 감소했다. 전체 인구 중 청년 인구의 비중은 연평균 0.363%포인트씩 줄었다.

사진=연합뉴스

감소 속도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17개 시도 중 연평균 청년 인구 비율이 빠르게 줄어든 곳은 울산(0.616%포인트), 경남(0.614%포인트), 경북(0.546%포인트), 부산(0.444%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 기초지자체별로는 경남 거제(1.259%포인트), 경북 칠곡(1.206%포인트), 울산 동구(1.136%포인트), 경남 통영(1.054%포인트) 등 순이었다.

연구진은 이런 급격한 지역의 인구 구조 변화는 저출생 같은 요인에 더해 청년층의 유출 즉, 인구이동에서 기인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인구 대비 청년의 유출 규모로 보면 전북에서 10년간 전체 인구의 4.6%, 청년 인구의 18.8%에 해당하는 청년이 지역을 떠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전북 청년 5명 중 1명꼴로 10년 사이 다른 시도로 이동한 셈이다.

기초지자체별로 보면 청년 순유출 규모는 경남 창원이 4만5854명으로 가장 컸고, 청년 인구 대비 유출 규모는 전남 곡성이 54.0%로 가장 컸다.

연구진은 지역 일자리 감소를 청년층 유출의 원인으로 꼽았다. 경남 창원이나 대구 달서의 경우 지역을 지탱하던 제조업이 붕괴해 제조업 종사자의 감소 폭이 커졌다는 설명이다.


오피니언

포토

문가영 뚜렷 이목구비에 깜짝…시스루룩 완벽 소화
  • 문가영 뚜렷 이목구비에 깜짝…시스루룩 완벽 소화
  • 이안 '러블리 카리스마'
  • 하츠투하츠 에이나 '깜찍한 매력'
  • 정소민 완벽 이목구비…단발 찰떡 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