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전문은행 직원들이 올해 상반기 주요 시중은행 직원 대비 2.4배의 생산성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각 은행 상반기 경영공시 자료에 따르면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케이·토스뱅크)의 올해 6월 말 기준 직원 1인당 평균 충당금 적립 전 이익(충전이익)은 3억8001만원이었다. 지난해 6월 말보다 38.5%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국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직원 1인당 평균 충전이익은 1억8400만원에서 1억5900만원으로 13.6% 줄어들었다.
인터넷은행별로 보면 토스뱅크의 올해 상반기 직원 1인당 평균 충전이익은 5억25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3%나 급증했다. 케이뱅크는 3억원에서 3억4000만원으로 11.8% 늘었고, 카카오뱅크도 2억5300만원에서 2억7700만원으로 9.5% 증가했다.
시중은행을 보면 하나은행이 올해 상반기 1억8800만원으로 5대 은행 중 가장 많았다. 다만 1년 전보다는 14.2% 감소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6월 말에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1억7700만원을 기록했다. 우리은행은 1억5900만원에서 1억6900만원으로 6.3% 늘었고, NH농협은행은 1억8800만원에서 1억4800만원으로 21.3% 줄었다. KB국민은행은 1억7900만원에서 1억1400만원으로 36.3% 감소했다.
이 같은 이익 격차는 직원 수가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하나은행은 올해 상반기 기준 국내 직원 수가 1만1748명으로 1년 전보다 175명 늘었지만 5대 은행 중 가장 적었다. 이에 반해 국민은행은 1만6255명에서 1만5943명으로 312명 줄었으나 5대 은행 중 가장 많았다. 신한은행은 1만3213명에서 1만2931명, 우리은행은 1만3100명에서 1만3624명, 농협은행은 1만3267명에서 1만3311명으로 큰 변화는 없었다.
인터넷은행 직원은 시중은행의 10% 수준이다. 올해 상반기 기준 토스뱅크가 545명, 케이뱅크가 569명, 카카오뱅크가 1555명이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정미칼럼] 머니 무브의 종착지는?](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47.jpg
)
![[설왕설래] 최장수 사법연수원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60.jpg
)
![[기자가만난세상] 구경당하는 불쾌함에 대하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08.jpg
)
![법정서 ‘여사님’을 붙일 수 없는 이유 [서아람의 변호사 외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4866.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