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후년 서울의 아파트 입주 물량이 올해의 3분의 1에도 못미치는 수준으로 급감한다. 입주 물량이 쪼그라들면 서울 신축 아파트 품귀 현상은 더 극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2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오는 2026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 예상치는 7145가구다. 이는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2만4659가구) 대비 71%가량 줄어든 수준이다. 지난해 입주 물량(3만2775가구)과 비교하면 78% 감소한 규모다.

최근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을 보면 2020년 4만9847가구로 5만 가구에 근접했다가 2021년 3만3702가구로 줄었다. 이후 2022년 2만4350가구, 2023년 3만2775가구, 올해 2만4659가구 등으로 2만∼3만가구 선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1000가구 가량 많은 2만5710가구가 입주할 전망이다. 일부 단지가 후분양을 선택할 경우 2026년 입주 물량이 현재 예상치보다는 다소 늘어날 수 있으나, 평년 수준까지 늘어나기는 어렵다는 것이 업계의 진단이다. 서울 아파트는 정비사업 의존도가 높아 단기간에 공급을 늘릴 수 없기 때문이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2026년 입주 물량이 올해에 비해 71% 줄어들 전망”이라며 “장기간 공급 부족이 누적되고 있기에 서울에서 신축 아파트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의 신축 아파트는 ‘몸값’은 계속 뛰고 있다.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 주거지를 중심으로 신축 아파트값 상승세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 서울 주택 공급 부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신축 아파트로 매수세가 집중된 탓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신축(준공 5년 이내) 아파트값은 6월보다 2.34% 올랐다. 서울 전체 아파트값 상승률(1.19%)의 배 수준으로, 2012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반면 준공 20년이 넘은 구축 아파트값 상승률은 1.01%에 그쳤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서울 지역의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 가격이 6년여 만에 두 배로 뛰었고, 서울 아파트값도 약 6년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며 “앞으로 신축 아파트 ‘몸값’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