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금융·물류 등 벤치마킹 나서
파격세제 지원 속 투자 유치 주목
市 “기업 稅 혜택·규제 완화 노력”
내년에 부산항 개항 150주년을 맞는 부산시가 항만과 공항, 철도를 결합한 트라이포트(Tri-Port: 육해공 복합수송체계)를 토대로 세계 물류 중심 ‘글로벌 허브도시’로 거듭난다는 야심 찬 계획을 내놨다. 이를 위해 부산시는 이달 10일부터 3박5일간의 일정으로 ‘글로벌 허브도시 추진단’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로 파견해 성공사례를 벤치마킹했다.
20일 부산시 등에 따르면 두바이는 197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인구 3만5000여명의 작은 어촌마을에 불과했으나 지금은 중동의 금융과 관광 중심지로 변모했다. 불모의 모래땅이 인구 355만명의 세계적인 도시로 탈바꿈하는 데 50년도 채 걸리지 않은 것이다.

부산시는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을 위해 ‘무에서 유’를 창조한 두바이인들의 성공사례를 벤치마킹해 물류·관광 등 다양한 개발 사업에 접목한다는 계획이다. 추진단은 두바이 국제금융센터(DIFC)를 가장 먼저 찾았다. 2003년 설립된 DIFC는 두바이 금융의 심장으로, 세계 각국의 금융기관 및 기업들이 집적해 있다. 4만2000명의 직원이 근무하며 입주 기업을 상대로 금융과 보험, 핀테크, 법률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알야 후세인 알자루니 DIFC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부산시 추진단에 “외국기업에 면세를 비롯한 각종 기업 우대 정책과 직원 채용 및 기업 운영에 자율권을 부여하는 등 두바이만의 독특한 ‘에코시스템’이 DIFC의 성공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추진단은 이어 두바이 항구와 공항을 경제자유구역(Free Zone)으로 지정하고, 입주기업의 자유로운 외환거래와 무제한 환전, 관세·법인세 면제, 사무실과 공장부지 제공 등 다양한 경제 권한을 제공하는 제벨알리 프리존(JAFZA)과 두바이공항 프리존(DAFZA)을 방문했다.

JAFZA는 1984년 중동 최초로 항만배후지역에 지정된 프리존으로, 두바이 해상물류무역의 중심이다. 현재 68㎢에 이르는 항만과 자유구역에 13만5000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전체 물동량은 5만9000TEU에 이른다. DP월드가 운영하는 이곳은 세계에서 유일한 동일 권역 내 항만·항공·철도를 연결하는 트라이포트 기반 물류 및 제조기능을 수행한다.
1996년에 설립된 DAFZA는 두바이 국제공항 주변에 위치한 프리존으로 현재 2만8000여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다. UAE 항공 무역의 거점으로, 전기·전자, 소비재, 엔지니어링·건축자재, 항공물류 등이 주요 산업군이다.
부산은 2029년 가덕도신공항 개항과 동시에 신공항 배후에 대규모 복합물류단지를 조성해 외국기업의 투자를 유치할 방침이다. 추진단을 이끈 박경은 부산시 정무특별보좌관은 “세계 2위 환적항인 부산은 물류허브로 거듭나기 위한 충분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면서도 “파격적인 세제지원과 규제완화 등 제도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