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과 중국 간 패권 경쟁은 우주공간까지 확대됐다. 대부분의 우주 개발에서 미국이 앞장서고 중국이 추격하는 모양새였지만, 달 탐사 경쟁에서는 중국이 한 발 앞선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 등 추격세가 만만찮다.
아폴로 계획을 통해 우주인을 달에 최초로 보냈던 미국은 우주인을 다시 달에 착륙시키는 ‘아르테미스 계획’을 추진 중이고, 중국은 인류 최초로 달 뒷면 착륙에 이은 달 뒷면 샘플 채취에 성공했다.
◆‘인류 공동의 공동’명제 흔들리는 우주
2011년 미국 의회는 우주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중국을 건제하기 위한 대응으로 ‘울프 수정안’을 통과시켰다. 수정안은 연방 기관인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이 연방 예산을 사용해 중국 정부와 직접 협력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골자다. 이에 따라 나사가 중국 또는 중국 소유 회사와 어떤 방식으로든 협력하는 것이 어렵게 됐고, 나사의 프로젝트 등에 중국인의 참여도 금지했다.
이후 2015년에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미국 기업에 우주 전역의 자원을 추출할 권리를 부여한 ‘상업적 우주법’에 서명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우주가 인류 공동의 자산이라는 개념을 명시적으로 거부하며 우주 자원의 상업적 개발을 승인했다. 이는 1967년 미국과 러시아, 중국 등 113개국이 체결한 우주조약(OST)에 배치된 행위였다. OST는 우주 공간의 탐사와 사용은 모든 국가의 이익을 위해 수행돼야 하며, 우주는 모든 인류의 영역이 돼야 한다고 규정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백악관은 2026년까지 달 및 다른 천체를 위한 통일된 표준 시간을 만들 것을 나사 등에 지시하기도 했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국(OSTP)은 달 표준 시간을 위해 원자시계를 달 표면에 배치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달 표준 시간은 세계 표준시인 협정세계시(UTC)에 빗대 ‘협정 달 시’(LTC)로 불리며 달 탐사선, 인공위성 등에 시간 기준을 제공하게 된다. OSTP는 LTC의 시행 방법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기존 국제기구 및 아르테미스 협정 등을 통한 국제적 합의가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르테미스 협정은 36개국이 참여하고 있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불참한 상태다.
◆미·중, 달 둘러싼 경쟁 본격화
미국은 아르테미스 계획을 통해 달에 인간을 상주시킬 계획이다. 지난해 말 유인 우주선을 달 궤도에 올린 뒤 올해에는 유인 캡슐을 달 남극에 착륙시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아르테미스 계획이 순조롭게 추진되면 나사는 달표면에 기지를 세워 인간을 우주에 상주시킬 계획이다.
중국도 달 표면에 연구 인력을 상주하는 기지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2019년 1월 무인 달 탐사선 ‘창어(嫦娥) 4호’를 인류 최초로 달 뒷면에 착륙시키는데 성공한 데 이어 지난 4일 창어 6호가 달 뒷면 샘플을 채취하는 데도 성공했다.
창어 6호는 지난 2일 달 뒷면의 남극 아이켄 분지에 성공적으로 착륙한 뒤 샘플을 채취해 귀환길에 올랐다. 중국은 창어 6호 발사에 이어 2026년에는 창어 7호를 발사해 달 연구 기지 건설을 위한 연구인력을 달 표면에 착륙시킬 계획이다. 2030년까지 달 연구기지를 갖추겠다는 게 중국의 계획이다.
이처럼 중국의 우주 기술 수준이 무섭게 성장하면서 미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중국은 미국을 향해 우주 탐사 협력을 원한다면 제재를 풀어야 한다고도 요구하고 나섰다.
마오닝(毛寧)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6일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 중·미 우주 협력은 일부 문제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이는 나사의 빌 넬슨 국장이 창어 6호 달 탐사 프로그램 성공을 축하하면서 화성 탐사 등 양국이 양호한 협력을 해왔다고 말한 데 대한 답이다. 마오 대변인은 “(문제와 어려움의) 근원은 미국 측의 울프 수정안 등 국내법이 양국 우주 기관의 정상적인 교류·대화의 장애물이 된다는 점”이라며 “진심으로 양국의 우주 영역 교류·협력 추진을 희망한다면 실용적인 조처를 해 이런 장애를 없애야 한다”고 지적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