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국민연금 개혁 논의와 관련해 국민의힘이 주장하는 44%를 전적으로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소득대체율 1%포인트의 이견에 막혀 22대 국회로 떠넘겨질 참이었던 연금개혁 과제가 막바지 타협에 들어가는 모양새다.

이 대표는 25일 오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주장하는 소득대체율은 45%와 44%다”며 “여당이 제시한 소득대체율 44%를 전적으로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꼭 해야 할 일인데 시간은 없으니 불가피하게 민주당이 다 양보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에게 간곡히 요청한다. ‘역사적 소명과 책임을 피하지 않겠다’며 연금개혁을 공언한 대통령의 약속을 국민은 기억하고 있다”며 “대통령은 민주당의 제안을 즉각 받아달라”고 요구했다. 아울러 국민의힘을 향해서는 “이마저도 또 다른 이유를 대면서 회피한다면 애당초 연금개혁의 의지가 없었다고 국민들은 판단할 것”이라며 “지체 없이 입법을 위한 구체적 협의에 나서달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국민 여러분에게 소득대체율 44%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그러나 18개월을 달려온 국회 연금특위의 노력을 포기할 수는 없다. 한 걸음을 못 간다고 주저앉기보다는 반걸음이라도 나아가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또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22대 국회에서 2차 연금개혁을 추진하겠다”며 “국민 노후를 위한 국가의 책임을 강화하고, 다층적 노후 소득보장 강화와 국민연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구조개혁까지 반드시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다시 한번 대통령과 국민의힘에 호소한다”면서 “더 이상 미루지 말고 이번 주말이라도 여야가 만나 합의하고, 이번 (21대) 국회에서 1차 연금개혁을 매듭짓자”고 촉구했다.
한편 국민연금 개혁에 대해 여야는 그간 ‘보험료율 13%’에는 합의했지만 소득대체율에서 입장 차를 보였다. 국민의힘은 ‘소득대체율 43%’ 안을, 민주당은 ‘소득대체율 45%’ 안을 주장해 왔다. 국민의힘은 쟁점인 소득대체율에서 한발 양보해 ‘소득대체율 44%’를 절충안으로 제안한 바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