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열린마당] 세종과 한글 받아쓰기 대회

관련이슈 독자페이지

입력 : 2024-05-15 22:49:18 수정 : 2024-05-15 22:49:17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세종대왕의 셀 수 없이 많은 업적 가운데 하나를 꼽으라면 누구나 망설이지 않고 훈민정음, 즉 한글의 창제를 들 것이다. 한글의 창제로 우리는 말하는 바를 그대로 적어 타인과 소통하고 후대까지 기록으로 남길 수 있는 전 국민 문자 사용 시대를 살 수 있었고 이는 오늘날 우리나라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

페루는 남미에서 유일하게 4000년 넘게 토착 문명을 쌓아 온 국가지만 과거의 찬란한 문명이 유적으로만 존재할 뿐 현재까지 계승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말은 있어도 문자를 갖지 못한 문명은 지속될 수 없음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사례이다.

장소원 국립국어원장

인간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소통이고, 그 소통을 가능케 하는 것이 언어다. 그 언어를 기록화하여 타인에게 혹은 다음 세대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바로 문자다. 우리는 세종대왕 덕분에 한글이라는 우수한 문자를 사용하면서 나라를 발전시키고 우리의 문화를 한류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에 퍼뜨리고 있다. 우리 국민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이 세종대왕일 수밖에 없는 이유이고 세종대왕의 탄신일인 5월15일이 스승의 날로 지정된 까닭이다.

매년 스승의 날 아침이면 국어 관련 단체와 연구자들은 민족의 스승인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종대왕의 동상이 있는 곳을 찾아 꽃을 바친다. 올해도 예외가 아니어서 여주의 영릉뿐 아니라 광화문, 세종대왕기념관, 여의도공원, 국립국어원 등 세종대왕 동상이 있는 모든 곳에는 꽃이 놓였다. 그러나 이는 한국어, 한글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사람들만의 행사에 지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를 기념하고 전 국민, 아니 한글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만한 행사의 기획이 필요한 시점이다.

스승의 날인 어제 경복궁 동쪽에 자리한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46개국에서 온 100명의 외국인 유학생이 모여 받아쓰기 시험을 치렀다. ‘2024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에 참가한 이들은 아나운서들이 불러 주는 한국어 문장들을 한 자 한 자 받아 적어 내려갔다. 이 대회는 제627돌 세종대왕 나신 날을 기념하여 국립국어원과 한국방송공사가 공동으로 개최했으며 올해 10월에 개최될 전 국민 대상 받아쓰기 대회의 사전 행사 성격을 띤다.

자국어에 유난히 강한 자부심을 느끼는 프랑스에서는 수십 년째 해마다 외국인을 포함하는 전 국민 받아쓰기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저명한 아나운서가 불러 주는 위대한 철학자의 명문을 내로라하는 지식인들이 받아쓰는 것이다. 단 한 개의 오류도 범하지 않은 만점자가 나왔느냐는 그날 저녁의 톱뉴스 거리가 된다.

올해는 우리나라에서도 한글 주간에 제1회 전 국민 받아쓰기 대회가 개최된다. 한글은 초성, 중성, 종성을 모아 한 글자를 만들어 적기 때문에 맞춤법이 어렵다. 대회가 시작되면 예선을 거친 결선장에는 우리 말과 글의 달인들이 모두 모이게 될 터인데 과연 하나도 안 틀리고 정답을 적어내는 우승자가 나올 것인지 궁금하다. 프랑스와 달리 우리나라의 받아쓰기 대회는 아나운서도 좋지만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국립국어원에서 선정한 우리의 명문을 읽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장소원 국립국어원장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