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쟁방침 강조하며 증산 압박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재래식 무기 생산 공장을 돌며 공장 노동자들에게 증산을 압박했다.

조선중앙통신은 13일 김 위원장이 “11일과 12일 제2경제위원회 산하 중요 국방공업기업소(공장)를 현지지도하면서 군수공업정책 집행 정형을 파악”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생산공정 현대화가 첨단기술력을 갖춰나가고 있는 자립적 국방공업을 더욱 비약적 단계로 끌어올리는 선결조건”이라며 “최근 국방공업이 발전한 것은 우리 당의 전략과 투쟁방침의 정당성이 가져온 결실”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이 방문한 공장은 신형 저격수 보총(소총)을 생산하는 곳, 신형 240㎜ 방사포대차를 생산하는 곳 등으로 “첨단정밀군수품을 생산하는 기업소”로 표현됐다. 김 위원장은 신형 240㎜ 방사포를 싣는 차량을 직접 시운전하고, 무기체계 생산 확대와 포병 전투력 강화를 지시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신형 방사포 검수사격을 참관하고, 지난 10일 방사포탄 시험사격을 지켜본 데 이어 이번에는 방사포대차량 공장을 직접 찾았다.
김 위원장이 저격수 소총 생산 공장에서는 직접 사격을 하고 과녁 정중앙을 맞힌 사진도 공개됐다. 올해 새로 조직된 북한 군 포병부대에 배치할 신형 240㎜ 방사포대차 생산 현장에서는 “꽝꽝 만들어내기 위해 공정 현대화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미국의 체제말살 공격 가능성에 맞선 자위적 조치라는 명분으로 핵 개발에 집중해 왔지만, 재래식 무기에는 많은 자원을 투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체제 방어 명분의 핵 무력이 아닌 실제 군사적 충돌 시 활용될 재래식 무기들을 개량하고 증산하고 있다. 수도권을 겨냥하는 무기들을 보여줌으로써 대남위협의 의도를 가졌다는 분석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전쟁 등에 수출하려는 의도라는 분석 등이 나오고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푸틴의 방북 전 북한 무기 신뢰성을 홍보하는 등 대외 무기세일즈 목적과 내부적으로는 재래식 포병전력 강화, 대남 억제력 과시를 보여주는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