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소아 뼈에는 성장판 있어… 골절 땐 성장장애 일으킬 수도” [부모 백과사전]

, 부모 백과사전 , 세계뉴스룸

입력 : 2024-05-13 06:00:00 수정 : 2024-05-13 07:30:5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성인 뼈는 힘 가해졌을 때 부러지지만
소아 뼈는 휘어지는 불완전 골절 많아

하지 성장판 손상 땐 키에 치명적 영향
다친 부위 성장 속도 주기적 체크 해야

“엑스레이 검사로 감별 안 될 수도 있어
통증 지속 땐 소아정형외과 진료 필요”

“소아는 그저 ‘작은 성인’이 아닙니다. 성인의 뼈는 힘이 가해졌을 때 스트레스를 받아 버티다 부러지는 데 반해, 소아의 뼈는 더 유연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버티다 부러지기보다는 휘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무엇보다 소아 뼈는 성인과 달리 성장판이 있습니다. 표현이 어려운 어린아이들의 경우에는 외상 후 3∼4일 이상 아프면 단순 타박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연골 부분이 많은 아이의 뼈는 엑스레이 검사에서 손상 부위가 완전히 다 감별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통증이나 부종이 지속하면 소아정형외과 진료를 받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서울아산병원 소아정형외과 곽윤해 교수는 10일 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성인의 골절과 소아 골절의 차이를 강조하며 아이의 증상을 면밀히 관찰해 정확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인은 뼈가 완전히 부러지거나(완전 골절), 뼈가 조각조각 쪼개지는(분쇄골절) 가능성이 높은 반면 소아는 뼈에 금이 가는 미세 골절이나 휘어지는 불완전 골절인 경우가 많다. 이는 소아와 성인 뼈의 역학적 성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곽 교수는 “소아의 뼈는 다공성의 형태라 성인보다 골절이 쉽게 발생하고, 성장판이 존재하고, 성인에 비하여 인대 손상이나 탈구가 적고 성장판 손상이 많고, 재형성능력이 좋기 때문에 성인보다 해부학적으로 완벽한 정복(뼈 맞추기)을 하지 않아도 된다”라는 점을 차이로 설명했다.

성장판은 각각의 뼈에 모두 존재하며 뼈가 자라는 역할을 한다. 성장판은 여아의 경우 13∼15세, 남아의 경우 15∼17세까지 존재한다.

성장판 손상이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지는 것은 사고의 강도(성장판 손상의 정도), 연령(어릴수록), 부위(팔꿈치), 관절의 침범 여부와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외상의 시기가 어릴수록 더 문제가 되는 것은 결국 다치지 않은 부위와의 성장 차이 때문이다. 또 골절이 성장판을 가로지르거나, 위·아래로 다 짓이겨져서 모든 성장판 층이 손상되면 성장장애가 생길 수 있다.

“성장판은 여러 층(zone)으로 되어 있습니다. 보통 성장의 뿌리가 되는 층(germinal zone) 말고 중간 층(hyper trophic zone)에서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외상의 정도가 심하거나 위, 아래로 짓눌리는 등의 손상에서는 모든 층이 다 손상되면서 성장장애가 올 수 있습니다. 부위에 따라서는 무릎 위 원위 대퇴골의 성장판은 일자가 아니라 약간 ‘ㅅ 모양’이고, 무릎 아래 근위 경골 성장판은 일자입니다. ‘ㅅ 모양’은 잘 다치지 않지만 다치면 성장장애가 더 많이 생기고, 일자 모양 성장판은 성장장애 가능성이 좀 더 낮습니다.”

서울아산병원 소아정형외과 곽윤해 교수.

성장 후 신장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은 하지 성장판이다. 팔꿈치 등 팔의 성장판 손상은 팔과 관련됐지만 하지는 성장판이 다쳤을 때 키에 영향을 주게 된다. 곽 교수는 “근위 대퇴골 성장판이 전체 하지 성장의 15%, 원위 대퇴골 성장판이 37%, 근위 경골 성장판이 28%, 발목 성장판이 20% 정도 차지하게 된다”며 “따라서 원위 대퇴골 성장판 손상이 있다면 키에 가장 큰 영향을 주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장판이라고 하면 키로만 연관 짓는 경우가 많지만 ‘휘어짐’도 신경 써야 한다. 팔꿈치 부위 골절 발생하면 팔이 휘어지는 내 반주(cubitus varus)가 발생할 수 있다.

성장판 이상이 의심되면 주기적으로 병원을 내원해 다친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성장 속도를 체크해야 하는 이유다. 필요한 경우 수술을 통해 성장 속도를 양쪽이 비슷하도록 맞춰 주는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아이의 나이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6개월에서 2년 정도 관찰합니다. 차이가 큰 경우 적게 자란 뼈를 길게 늘이는 수술을 하거나 긴 쪽을 못 자라게 잡아주는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에서는 2.5㎝ 정도부터, 상지에서는 5㎝ 길이 차이부터 수술적 교정을 고려합니다.”

성장판 손상을 불러오는 특별한 활동은 있는 것이 아니다. 집에서 뛰어놀다가도, 킥보드·트램펄린을 타다가도 넘어지면서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소아 골절에서 약 20%가 성장판 손상을 동반한다.

곽 교수는 “소아는 성인과 달리 골절 유합, 재형성능이 높기 때문에 성인처럼 수술한다든지, 또는 성인처럼 완벽하게 뼈를 맞추기 위해 반복적으로 도수 정복(closed reduction)을 하게 되면 오히려 성장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며 “성인과 다르게 접근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유영 '우아한 미소'
  • 이유영 '우아한 미소'
  • 혜리 '깜찍한 볼하트'
  • 고민시 '매력적인 눈빛'
  • 지지 하디드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