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관련 기업 유치 기대, 경제 효과는 5년 간 1조원 예상
충남도와 보령시가 조성을 추진 중인 보령신항이 국내 최대 해상풍력 지원 항만으로 개발된다.
보령신항 1단계 개발후 탄소중립 실현을 뒷받침할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돼 해상풍력산업 거점 조성과 관련 기업 유치 등이 기대된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22일 도청에서 김동일 보령시장, 김승모 한화 건설부문 대표이사와 보령신항 해상풍력 지원 항만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보령신항 해상풍력 지원 항만은 한화 건설부문에서 올해부터 총 2000억원을 투자해 건설할 계획이다. 건립 규모는 안벽 414m(2선석), 배후부지 30만㎡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다.
국내에서 현재 가동 중인 해상풍력 지원 항만은 목포신항(안벽 240m·배후부지 9만 3000㎡)이 유일하다. 보령신항 지원 항만에는 서해안권 해상풍력발전단지에 세울 해상풍력발전기의 날개 및 엔진 조립 시설, 부자재 보관 시설, 계통연결 시설 등이 설치될 예정이다.
현재 계획된 서해안권 해상풍력발전단지는 △보령 1.96GW(6조 원) △태안 1.0GW(14조 9000억 원) △보령 녹도 320㎿(2조 원) △인천권 2.5GW △전북 2.5GW 등 총 8.28GW에 달한다.
충남도는 보령신항 해상풍력 지원 항만이 본격 가동하면 관련 기업 유치에 탄력이 붙고, 해상풍력 설치와 유지·관리, 관련 부품 생산 등을 통해 5년 간 1조원의 경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해상풍력 지원을 목적으로 한 보령신항 개발에 상호 협력하기 위해 맺었다. 충남도는 정부의 제4차 항만기본(수정) 계획에 보령신항 해상풍력 지원 항만 개발 계획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 보령시는 해상풍력 지원 항만 조성 관련 인허가 등 행정적 지원에 협력한다.
한화 건설부문은 보령신항 해상풍력 지원 항만 조성 사업 추진을 위해 사업비를 적극 투입한다. 2026년까지 항만개발사업 허가를 받고 2027년부터 2년간 안벽과 배후단지를 조성해 2029년 이후에는 항만을 본격 가동한다.
김 지사는 “보령신항 개발은 의원 시절 대통령께 건의하고, 해수부 장관을 설득해 어렵게 예타를 통과시켰고, 준설토 투기장 공사까지 이뤄낸 사업”이라며 “이제 다음 스텝을 밟아야 할 차례인데, 고맙게도 우리 충청의 기업 한화 건설부문에서 해상풍력 지원 항만 개발 사업으로 길을 열어줬다”라며 감사를 표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