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파인애플과 망고 수입량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바나나와 오렌지 수입량도 늘었는데 가격이 크게 오른 사과와 배 수요를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이다.
16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파인애플 수입량은 지난해 동월보다 44.7% 증가한 8686t으로 사상 최대로 집계됐다. 수입액도 55.3% 증가한 867만8000달러(약 120억4900만원)로 가장 많았다. 지난달 망고 수입량과 수입액도 지난해 동월보다 114.0%, 110.5% 각각 증가한 6264t, 2474만2000달러(343억5400만원)로 사상 최대다.

바나나와 오렌지 수입도 최근 몇 년 사이 최대였다. 지난달 바나나 수입량은 지난해 동월 대비 27.7% 증가한 3만8404t으로 2019년 5월(3만8741t) 이후 4년 10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수입액 규모는 3813만4000달러(529억4900만원)로 2018년 6월(4043만2000달러) 이후 5년 9개월 만의 최대치다. 오렌지는 지난달에 지난해 동월 대비 1.7% 더 많이 수입해 3만8028t을 들여왔으며 수입액은 같은 기간 대비 8.5% 증가한 8388만8000달러(1164억7800만원)로 2021년 3월(4만6400t·8411만8000달러) 이후 3년 만의 최대였다.
수입 과일을 더 많이 반입한 배경에는 사과와 배 수요 분산이 있다. 가격이 많이 오른 사과와 배를 대체하기 위해 바나나, 파인애플 같은 수입 과일을 3∼4월 집중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반입 규모가 커지면서 공급이 늘자 수입 과일 가격은 하락세를 보인다.
파인애플(상품) 1개의 전날 소매가격은 6561원으로 전월 대비 9.9% 낮아졌다. 지난해 동월과 비교하면 7.7% 낮은 수준이다. 바나나(상품) 100g의 전날 소매가격도 269원으로 전월보다 17.5% 하락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로는 18.7% 낮다. 오렌지(네이블 미국·상품) 10개의 전날 소매가격은 1만5000원으로 전월 대비 10.1% 내려가 역시 두 자릿수 하락폭을 보였다. 망고(상품) 1개의 전날 소매가격은 3658원으로 전월보다 1.9% 오르긴 했지만, 지난해 동월과 비교하면 32.9% 낮아졌다.
과일 수요가 분산되자 사과값은 최근 들어 떨어지는 추세다. 사과(후지·상품) 10개의 전날 소매가격은 2만5017원으로, 지난해 동월과 비교해 9.9% 높은 수준이어도 전월보다는 7.8% 내려갔다. 배(신고·상품·10개) 가격은 4만7110원으로 아직 전월보다 10.0% 높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73.1%나 올랐다.
지난달 사과와 배 수출량은 각각 30t, 99t으로 지난해 동월과 비교해 71.8%, 95.5% 급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