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3.1%…농산물 20.5% 폭등

입력 : 2024-04-02 08:49:20 수정 : 2024-04-02 08:49:18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식품 5.2% 상승
연합뉴스

3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3.1% 오르면서 두 달째 3%대 상승 폭을 이어갔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4(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3.1% 상승했다.

 

이는 전월인 2월과 동일한 상승 폭이다. 다만 농산물의 경우 무려 20%대로 폭등했다.

 

품목성질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전년 동월보다 11.7% 올랐다. 특히 이 중 농산물은 20.5%나 급등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사과가 88.2% 올랐고, 귤(68.4%), 토마토(36.1%), 배(87.8%), 파(23.4%) 등도 높은 상승 폭을 보였다. 사과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80년 1월, 배는 1975년 1월 이래 가장 큰 상승률이다.

 

다만 망고(-21.4%), 마늘(-11.1%), 양파(-10.5%), 고등어(-3.9%) 등은 하락했다.

 

공업제품 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상승했다.

 

등유(-4.3%), 라면(-3.9%), 조제약(1.7%) 등에서 물가가 내렸지만 티셔츠(10.4%), 수입승용차(8.1%), 휘발유(3.0%) 등에서 오른 여파다.

 

전기·가스·수도의 경우 지난해 3월보다 4.9% 상승했다. 지역난방비(12.1%), 도시가스(5.6%), 전기료(4.3%) 등이 올랐다.

 

서비스 물가는 전년 동월보다 2.3% 올랐다. 특히 보험서비스료(17.9%), 택시료(13.0%), 시내버스료(11.7%), 구내식당식사비(5.1%) 등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113.94(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3.1% 상승했다. 마찬가지로 전월인 2월 상승률과 동일한 수치다.

 

자주 구매하는 144개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116.59(2020=100)로 1년 전과 비교해 3.8% 올랐다. 상승 폭이 지난 2월보다 0.1%p 확대됐다.

 

이러한 가운데 서민 경제와 밀접한 식품은 지난해보다 5.2% 상승했고, 식품 이외 품목도 2.9% 올랐다. 전월세 포함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2% 올랐다.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실 등 계절 및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40.36(2020=100)으로 전년 동월보다 19.5% 급등했다.

 

이 중 신선과실이 1년 전보다 40.9% 올랐고, 신선채소(11.0%), 신선어개(1.1%) 등도 각각 상승했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향후 물가 전망과 관련해 "지정학적 리스크로 석유류 가격이 어떻게 될지가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농축수산물은 날씨 영향이 미치지 않을까 싶다"고 내다봤다.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동안 미모 과시…상 들고 찰칵
  • 박보영 동안 미모 과시…상 들고 찰칵
  • 41세 유인영 세월 비껴간 미모…미소 활짝
  • 나나 매혹적 눈빛…모델 비율에 깜짝
  • 비비업 킴 '신비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