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경제성장률 격차 확대
주력 제조업 성과와 밀접 관련
수도권, 생산성 높은 산업 중심
비수도권 산업은 성장세 둔화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에 대한 수도권의 기여율이 51.6%에서 70.1%로 높아지는 등 수도권의 경제력 집중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IT 등 성장산업이 수도권에 집중되고, 비수도권은 자동차·조선·화학 등의 주력산업이 부진한 가운데 청년층마저 대도시로 떠나 성장잠재력이 떨어져서다.

한국은행은 25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지역경제보고서 이슈분석 ‘생산·소득·소비 측면에서 본 지역경제 현황’을 발표했다. 보고서는 전국 생산 중 수도권 비중이 50%를 처음으로 넘은 2015년을 기점으로 지역별 경제적 성과를 2001~2014년과 2015~2022년으로 나눠 비교했다.
생산의 경우 다수 지역의 경제성장률이 하락한 가운데 지역별로 차별화됐다. 특히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성장률 격차가 큰 폭으로 확대됐다.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은 2015년 이후 성장률이 이전 기간과 비슷하거나 소폭 하락한 반면 비수도권 다수 지역은 성장률이 3%포인트(p) 이상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의 전국 경제성장률에 대한 기여율이 51.6%에서 70.1%로 벌어졌다.
보고서는 두 지역의 성장률 격차가 주력 제조업의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수도권은 생산성이 높은 반도체 등 첨단 전자부품 산업을 중심으로 제조업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비수도권은 자동차, 화학제품 및 기계 산업 등이 중국과의 경쟁심화, 생산성 하락 등으로 성장세가 크게 둔화됐기 때문이다. 반면 서비스업의 지역간 성장률 격차는 2015년 이후 축소됐다.

반면 서비스업의 지역간 성장률 격차는 2015년 이후 축소됐다.
개인 소득은 대다수 지역에서 개인소득 증가율도 2015년 이후 증가세가 둔화됐지만, 지역별 1인당 개인소득 격차는 축소됐다. 특히 대도시(광역시 이상)와 도지역 간 소득격차가 줄었다. 이는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았던 도지역의 소득증가율이 2015년 이후 대도시에 비해 덜 둔화됐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상당수 도지역의 경우 생산 둔화의 영향이 개인소득보다는 기업의 이익 둔화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 이후 정부의 대규모 이전지출에 따른 재분배 수혜도 상대적으로 도지역에서 더 컸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민간소비 수준에서 두 지역의 격차는 오히려 확대됐다.
2015년 이후 도지역의 소비증가율이 대도시에 비해 더 큰 폭으로 둔화됐기 때문이다. 청년인구가 대도시로 이동하면서 비수도권은 인구고령화 가속화, 소비 인프라 부족 등으로 평균소비성향이 대도시보다 더 크게 하락했다.
보고서를 집필한 한은 조사국 지역연구지원팀 이예림 과장은 “저출산 등 우리나라의 구조적 문제들이 수도권 집중화와 관련된 만큼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수도권 지역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비수도권 인구유출 등에 따른 공급 및 수요 둔화에 대응하되 향후 재정부담 등을 감안해 지역 특성에 따른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