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강치 멸종시켜놓고…日, '다케시마의 날' 홍보 캐릭터로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4-02-22 13:25:03 수정 : 2024-02-22 14:50:02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경덕 "캐릭터로 부활시켜 왜곡된 교육 강화"

일본 시마네(島根)현이 독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기 위해 일방적으로 정한 '다케시마의 날'(2월 22일)을 맞아 독도 강치를 활용한 홍보를 더 강화하고 있다.

 

22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에 따르면 그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시마네현은 2006년부터 '다케시마의 날' 행사를 하고 있다"며 "독도에 관해 어떤 부분을 왜곡하는지 조사하고 대응하기 위해 최근 시마네현청 '다케시마 자료실'을 다녀왔다"고 말했다.

독도 강치를 활용해 홍보하는 일본 시마네현청 '다케시마 자료실'. 서경덕 교수 SNS 캡처

바다사자의 일종인 강치는 과거 독도에 최대 수만 마리가 무리를 지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는 1905년 독도를 자국 영토에 편입한 뒤 강치잡이 전담 회사를 만들어 잔인하게 포획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 교수는 "일본은 예전부터 강치 캐릭터를 활용한 전시 패널을 주로 활용해왔다"며 "이제는 강치 스티커, 강치 인형, 강치 종이접기 등을 활용해 '다케시마의 날' 및 자료실을 널리 알리는 모양새였다"고 설명했다.

 

또 "가죽과 기름을 얻고자 일본이 불법적으로 독도 강치를 포획해 멸종시킨 역사적 사실은 전혀 인정하지 않고, 이렇게 캐릭터로 부활시켜 왜곡된 교육을 강화하고 있었다"고 비판했다.

 

서 교수는 "전시실에 들어가자마자 눈에 확 띄는 큰 미역 그림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미역 채취 부분도 지적했다.

 

그는 '독도 주변 미역은 3미터나 되는 큰 것이 잡혔다. 오키섬 주변에서도 미역은 많이 잡혔지만 길어야 1미터'라는 설명을 소개하며 "이 역시 불법 채취였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 교수는 "지난해 독도 강치의 역사에 관한 다국어(한국어·영어) 영상을 제작해 국내외로 홍보 중"이라며 "일본어 버전을 추가해 시마네현청 자료실의 왜곡을 일본인들에게 널리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송동근 기자 sd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
  • 송지효 '바다의 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