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임실현 사찬읍지 중 가장 오래된 운수지(雲水志) 을묘본(1675) 최초본이 발견됐다. 운수지는 임실현(현 전북 임실군)의 17세기 별칭인 운수(雲水)의 연원과 변천, 행정체계 등을 기록한 책이다.
5일 전북 임실군에 따르면 오수면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 김진영(64)씨가 운수지(雲水志) 을묘본을 확보해 군에 기탁했다. 김씨는 2015년 임실군에서 공무원을 명예퇴직하고 지역 역사와 문화를 탐구하다 지난해 7월 한 인터넷 경매 사이트에서 우연히 운수지를 발견해 입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운수지는 조선시대 임실현 사찬읍지(私撰邑誌)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서 1675년, 1730년, 1904년에 잇달아 편찬됐다. 1904년에 간행된 운수지에는 현감 신계징의 발문과 함께 범례 여러 곳에 구본(舊本)을 열람한 것으로 보이는 대목이 있어 최초본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됐다.
운수지는 1675년에 임실현감 신계징이 고을 사람 한필상, 이시연과 함께 편찬한 자료로 총 32개 항목에 96면, 4만8000자에 이른다. 자료에는 임실현의 별칭인 운수(雲水)의 연원과 변천, 17세기 면리제(面里制) 시행, 역대 임실현감 포폄, 각종 인물편에 포함된 풍속 교화 노력 등을 담고 있다. 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열악했던 임실현 사정, 지역 관련 인물들의 에피소드, 산천에 딸린 수많은 이야기 등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어 당시 임실현의 모습을 오롯이 내포하고 있다.
이는 2017년 12월 발견된 1730년 발간본과 지난해 10월 기탁된 1798년 필사본과 더불어 17~18세기 임실현의 변화상을 엿보게 하는 귀중한 사료다.
운수지 을묘본은 조선시대 편찬된 사찬읍지 중 순천부읍지인 승평지(1618)에 이어 두 번째 오래된 것이다. 남원의 용성지(龍城誌·1699) 등과 더불어 17세기 전라도 사찬읍지의 특징에 대한 비교연구 등 학술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
학계에 따르면 1500~1600년대 발간된 조선시대 전국 읍지는 총 52종으로 보고됐으나, 이번에 운수지의 발견으로 포산지(경북 달성군 현풍읍)에 이어 54종으로 늘게 됐다.
심민 임실군수는 “운수지 보존 처리를 거쳐 전북자치도 문화유산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향후에도 지역 고유한 역사적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발굴해 널리 공유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