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北 포격 NLL 이북 7㎞ 근접… 총선 앞두고 긴장 고조 노린 듯

입력 : 2024-01-07 18:26:49 수정 : 2024-01-08 07:24:3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사흘 연속 대남 군사행동

200여발 이어 60여발·90여발 쏴
軍, 이번엔 대응사격 않고 지켜봐
김여정 “폭약 기만작전에 韓 속아”
北, 담화 발표… 합참 “저급한 선동”

7차 핵실험·ICBM 도발 가능성도
전문가 “국민 공포 조장할 의도”

북한군이 7일 서북도서 지역에서 포사격을 실시했다. 5, 6일에 이어 사흘째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에서 군사행동이 이뤄지면서 도발 수위가 높아질 우려가 나온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군은 이날 오후 4시부터 5시10분까지 연평도 북방에서 포병 사격을 했다. 발사된 포탄은 90여발로, 포탄이 서해 NLL 이북 해상 완충 구역에 낙하한 것이 우리 군 감시자산에 포착됐다. 낙하한 포탄 중 일부는 NLL 북쪽 7㎞ 해상에 떨어졌다. 우리 군은 대응사격을 하지는 않았다. 북한군 총참모부는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황해남도 강령군 등암리부터 연안군으로 이어지는 해안과 섬에서 해안포 23문을 동원해 포탄 88발을 사격하는 훈련을 했다”며 “정상적인 훈련체계 안에서 계획에 따라 실시됐다”고 밝혔다.

7일 오전 서해 최북단 인천 옹진군 대연평도 망향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남도 강령군 대수압도 해안가에 배치된 북한군 해안포 포문들(빨간 원)이 뚜렷이 식별된다. 이날 북한은 연평도 북방에서 90발 이상의 포병 사격을 실시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비슷한 지점에서 5일 200여 발, 6일 60여 발을 각각 쏜 데 이어 사흘째 도발을 이어간 것이다. 4월10일 총선을 앞두고 북한의 도발 수위는 계속 올라갈 것으로 보여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북한군은 전날 오후 4∼5시쯤 연평도 북서쪽 개머리 진지에서 포탄 60여발을 발사했다. 5일에는 백령도 북방 장산곶과 연평도 북방 등산곶 일대에서 200여발을 쐈다.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해상 무력충돌 방지를 위해 NLL 일대에 설정된 해상 완충 구역에서 포사격이나 해상 기동훈련을 하는 것은 합의 위반이다.

 

군 안팎에선 새해 초부터 북한이 대남 군사행동에 나서는 점을 주목한다. 한국의 4월 총선과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북한이 도발할 것이란 전망은 꾸준히 나왔다. 다만 그 시기가 상당히 빠르다는 것이 특이점이다.

 

이를 시작으로 북한이 NLL 일대에서 유사한 도발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포격으로 남측이 물리적 피해를 입거나 NLL 이남에 포탄이 떨어지지 않으면 한·미가 맞대응하기는 쉽지 않다. 반면 북한은 일정 수준의 긴장을 조성하고, 한국군의 대비태세를 확인할 수 있다. 북한의 일방적인 9·19 합의 파기로 해상 완충 구역이 유명무실해진 상황에서 향후 북한의 도발은 더욱 빈번해질 수 있다.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안포 사격을 실시한 지난 5일 백령도에서 우리 군이 해상사격 훈련을 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북한은 한국군의 능력을 깎아내리는 심리전도 병행하고 나섰다. 북한은 이날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 명의로 담화를 발표해 전날 자신들은 서북도서에서 포를 쏜 적이 없다고 강변했다. 그러면서 ‘포성을 모방한 폭약을 터뜨리는 기만작전에 한국군이 속았다’는 취지로 조롱했다. 북한군 총참모부도 지난 6일에는 포사격 모의 기만작전을 펼쳤다고 주장했다. 합참은 “코미디 같은 저급한 선동으로 대군 신뢰를 훼손하고 남남갈등을 일으키려는 상투적 수법”이라고 일축했다.

 

북한이 한국의 민간 인프라나 기업 등을 겨냥해 사이버·전자전 공격을 감행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물리적 도발로 인한 후폭풍을 피하면서 사회 혼란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북한은 6800여명의 사이버전 인력으로 기밀 수집과 가상자산 탈취를 위한 사이버 해킹에 나서고 있다. 2010년과 2011∼2012년, 2016년 북한은 각각 남한을 향해 위성항법장치(GPS)를 교란하는 전자전을 실시한 바 있다.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발사 등과 더불어 고체연료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공개 및 시험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7일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북한의 서해상 포사격 도발 관련 뉴스를 지켜보고 있다. 뉴스1

한·미를 겨냥한 ‘충격 요법’ 차원에서 7차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휴전선 이남에 대한 무력도발 가능성도 제기된다. 군 소식통은 “북한이 현 정부 임기 내 핵실험을 한 번은 강행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정부 내 기류”라고 전했다. 북한이 2015년 비무장지대(DMZ)에서 벌인 지뢰·포격 도발이나 2022년 11월 동해 NLL 이남으로 미사일을 발사한 전례를 반복할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아산정책연구원 양욱 연구위원은 최근 ‘2023년 북한 핵개발 현황 및 평가: 국방력 강화 속에 지속될 2024년 도발’ 보고서에서 “북한은 미사일 발사, 핵실험, GPS 및 통신 교란, 사이버 공격 등으로 확전해 국민의 공포를 불러일으키려 할 것”이라며 “재래식 도발과 핵 강압을 결합해 한국 정부의 대응을 차단하고 대내적으론 한반도 주도권을 확보했다는 정치적 승리를 보여주고자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엄현경 '여전한 미모'
  • 엄현경 '여전한 미모'
  • 천우희 '미소 천사'
  • 트와이스 지효 '상큼 하트'
  • 한가인 '사랑스러운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