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오랜만에 연락 온 동창의 청첩장…결혼식 가야 하나

입력 : 2023-12-15 16:27:19 수정 : 2023-12-20 15:04:16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오랜만에 걸려온 동창의 전화, 그런데 결혼식 참석을 요구하는 전화였다면 어떤 생각이 들까. 

참고용 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15일 가연결혼정보에 따르면 하객 입장에서 미혼남녀 500명(25~39세, 각 25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참석이 가장 고민되는 결혼식’은 ‘오랜만에 연락이 온 동창의 결혼식’(37.4%)으로 가장 큰 지지를 받았다.

 

근소한 차로 ‘거리가 먼 타 지역에서 진행하는 결혼식(33.8%)’을 꼽았고, ‘직장 타 부서 동료의 결혼식(14.2%)’, ‘이전 직장 동료의 결혼식(9.8%)’, ‘애인의 형제∙자매의 결혼식(4.2%)’, ‘기타(0.6%)’ 순으로 집계됐다. 

 

‘고민되는 결혼식에 어떻게 행동할지’에 대한 물음에는 ‘참석하지 않고 축의만 한다’가 47.8%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축하 인사만 보낸다’(22%), ‘가능하면 참석하고 축의도 한다’(15.8%), ‘별다른 행동을 하지 않는다’(12.4%), ‘기타’(1.8%) 순으로 이어졌다. 기타는 상황에 따라 결정한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하객으로서 가장 힘든 결혼식’은 ‘교통 및 주차가 불편할 때’가 48.2%로 과반수를 차지했다. 다른 상황은 ‘음식 맛이 없거나 부족할 때(20.2%)’, ‘주례나 축가 등 식 시간이 너무 길 때(17%)’, ‘식장이 좁아서 앉을 자리가 부족할 때(14%)’, ‘기타-아는 하객이 없어 혼자일 때(0.6%)’였다.

 

성별 및 연령에 따라 가장 차이를 보인 응답은 ‘고민되는 결혼식에 대한 행동’이었다. 

 

성별에 보면 ‘가능하면 참석’을 택한 남성은 22%, 여성은 9.6%였고, 반대로 ‘참석하지 않고 축의만’에 답한 남성은 42.8%, 여성은 52.8%였다. 

 

연령별로는 ‘참석하지 않고 축의만’에 대해 20대는 43.2%, 30대는 52.4%였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결혼식 참석에 조금 더 적극적인 의사를 드러냈는데, 대체로 사회 생활을 하는 비중이 더 많아 영향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가연결혼정보 김은영 커플매니저는 “혼인율이 점점 낮아지고 늦어지는 가운데, 올해 예상 혼인건수는 지난해보다 약 3%정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며 "오랫동안 연락이 없던 지인에게 갑작스레 소식을 받는 일도 당황스럽겠지만 초대하는 신랑신부도, 초대받은 하객도 서로 축하와 감사에 진심으로 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일리 '반가운 손인사'
  • 박보영 '순백의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