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일반인이 심폐소생술하면…심정지 환자 생존율 2배 ‘껑충’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3-12-13 15:43:29 수정 : 2023-12-13 15:43:28
정경인 온라인 뉴스 기자 jinorij@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일반인의 심폐소생술(CPR·CPCR)이 급성심정지 환자의 생명 갈림길을 결정지을 수 있다.

 

13일 질병관리청(질병청)과 소방청은 ‘제12차(2023년도)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열고 지난해 구급대 이송환자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해 119구급대가 병원으로 옮긴 급성심정지 환자는 3만5018명(인구 10만명당 68.3명)으로, 한해 전보다 5.4% 증가했다.

 

이들의 의무기록(의료차트)를 조사하니 ‘심장정지’로 확인된 환자는 3만4848명, 이중 2701명(7.8%)이 살아남았고,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의 뇌 기능을 회복한 환자는 1774명(5.1%)이었다.

 

쉽게 설명하면 지난해 급성심정지로 병원에 이송된 환자 100명 중 8명 정도만 생존한 것.

질병관리청 제공

 

지난해 급성심정지 환자 발생 시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한 사례는 29.3%로 환자 10명 중 3명은 일반인의 심폐소생 도움을 받았다.

 

이 비율은 11년 전인 2012년 6.9%에 비하면 훨씬 높아진 수치다. 심폐소생술을 배우는 일반인이 많아졌으며 실제 상황에서 시행하는 이들도 늘었다는 걸 뜻한다.

 

특히,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을 때 환자 생존율은 12.2%로, 주변에서 아무도 심폐소생술을 하지 않은 경우(5.9%)보다 생존율이 2배가량 높아졌다.

 

이에 질병청과 소방청은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자료를 개발·보급하고 위급상황 시 119신고자와 영상통화 등을 통해 심폐소생술을 빠르고 정확하게 알려주는 방법을 마련할 방침이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한편, 지난해 급성심정지 환자 특성을 보면 남자(63.9%)가 여자(36.1%)보다 많았다. 나이가 많을수록 환자도 늘었는데 60세 이상에서 발생한 경우가 전체의 72.2%를 차지했다.

 

원인을 따져보면 심근경색이나 부정맥, 뇌졸중 같은 질병에 따른 심정지가 대부분(78.3%)이었고, 급성심정지를 겪는 장소는 ‘공공장소가 아닌 곳’(64.5%)에서 주로 발생했다. 공공장소가 아닌 곳 중에서는 ‘가정’이 44.7%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정경인 온라인 뉴스 기자 jinorij@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