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관련자 구속… 형평성 고려도
宋 “억울한 점 판사 앞에서 소명”
검찰이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 의혹’의 ‘최종 수혜자’로 지목한 송영길 전 대표에 대해 이르면 이번 주 중 구속영장을 청구할 전망이다. 송 전 대표가 소환조사에서 이미 묵비권을 행사한 만큼 추가 소환 없이 바로 신병 확보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0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부장검사 최재훈) 수사팀은 주말에도 대부분 출근해 그간 확보한 송 전 대표 관련 수사 기록과 증거를 검토했다.

검찰은 지난 8일 송 전 대표를 정당법·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13시간 가까이 조사했다. 송 전 대표는 검찰의 질문 대부분에 대답하지 않았다고 한다. 송 전 대표 측이 검찰 수사 상황을 살펴 향후 재판 과정에 대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묵비권 행사를 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법조계에서는 검찰이 이르면 이번 주 중 송 전 대표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송 전 대표가 여전히 혐의를 전면 부인하며 검찰 조사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일 뿐 아니라, 이미 8개월여간 수사가 진행된 만큼 송 전 대표의 추가 소환 실익이 크지 않다는 이유다.
돈봉투 의혹에 연루된 주요 관련자들이 이미 구속 상태인 점도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을 높이는 대목이다. 검찰은 앞서 송 전 대표 보좌관 출신인 박용수씨와 윤관석·이성만 의원, 강래구 전 한국수자원공사 상임감사위원 등 돈봉투 살포 과정에 개입한 혐의를 받는 공범들에 대해 모두 구속영장을 청구했고, 이 중 이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공범들은 모두 구속된 바 있다.
이미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는 돈봉투 의혹 관련자들은 최근 법정에서 돈봉투 살포 사실 자체에 대해서는 인정하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검찰은 송 전 대표가 이들에게 직접 살포를 지시했다는 진술은 여전히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 또한 돈봉투를 윤 의원에게 전달했다고 증언하면서도 “경황이 없어 송 전 대표에게는 보고하지 않았다”는 취지로 말했다. 윤 의원은 돈봉투를 보관만 했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송 전 대표의 관여 여부에 대해서는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9일 전북 전주를 방문한 송 전 대표는 검찰 소환조사에서 진술을 거부한 것과 관련해 “윤석열 정권의 검찰을 신뢰할 수 없기에 헌법이 부여한 권한을 행사한 것”이라며 “억울한 점은 판사 앞에서 소명하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