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까지 자산운용사 당기순이익이 전분기 대비 10% 넘게 늘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줄었다. 절반 이상의 자산운용사는 적자를 기록했다. 올해 부진했던 금융투자업계 상황이 자산운용업계의 불황으로도 이어지는 모습이다.

금융감독원이 8일 발표한 3분기 중 자산운용회사 영업실적 자료에 의하면, 국내 자산운용사 465개사의 당기순이익은 4319억원으로, 전 분기(3839억원) 대비 480억원(12.5%) 증가했다. 전년 동기(3616억원) 대비로는 703억원(19.4%) 증가한 수치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3416억원으로 전 분기(4144억원) 대비 728억원(17.6%) 감소했다. 전년 동기(3757억원)와 비교해도 341억원(9.1%) 감소한 수치다. 9월말 기준 자산운용사의 운용자산(펀드수탁고, 투자일임계약고 기준)은 1465조3000억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21조9000억원(1.5%) 증가했다. 펀드수탁고는 902조7000억원, 투자일임계약고는 562조6000억원으로 6월말대비 각각 2.4%, 0.1% 늘었다.
금융감독원은 “자산운용사 운용자산이 올해 들어 증가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당기순이익도 직전분기 대비 개선됐지만 이는 1055억원 늘어난 영업외손익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본업인 수수료수익은 2021년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3분기 중 수수료수익은 9854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370억원 감소했다.
안 좋은 업계 상황은 적자회사가 늘어나고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465개 사 중 216사가 흑자였고, 249사는 적자로 적자회사 비율(53.5%)은 전 분기(50.2%) 대비 3.3%포인트 상승했다. 사모 운용사(383사)는 154사가 흑자, 229사가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회사 비율(59.8%)은 전 분기(56.8%) 대비 3%포인트 올랐다. 3분기 중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1.9%로 전 분기(10.9%) 대비 1.0%p 상승했다.
금감원은 “금융시장을 둘러싼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운용사별 재무건전성 및 손익 추이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한편 펀드자금 유출입 동향 및 자산운용사 잠재리스크 요인 등을 지속해서 모니터링 하겠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