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암 예방을 위한 비타민C 섭취는 ‘영양제’가 아닌 ‘음식’으로 먹어야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이와 관련해 27일 국립암센터는 명승권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대학원장(가정의학과 전문의) 연구팀의 결과를 전했다.
연구팀은 주요 의학데이터베이스인 펍메드(PubMed)와 엠베이스(EMBASE)에 1992∼2018년 문헌검색을 거쳐 국제 학술지에 발표된 20건의 논문을 최종 선정하고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음식을 통해 비타민C를 섭취하면 폐암 발생 위험성을 18% 낮추는 효과가 있었지만 영양제로 섭취하면 효과가 없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결과에 대해 두 가지 가설을 내놨다.
첫 번째 가설은 비타민C를 음식으로 섭취하면 비타민C와 함께 다른 항산화제 영양물질이 자연스럽게 체내와 함께 들어와 시너지를 효과를 내면서 암 예방에 효과가 있는 반면 비타민C 영양제 단독으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쉽게 설명하면, 채소와 과일에는 비타민C 외에도 암을 유발하는 활성산소종(세포의 노화와 사멸을 일으키는 독성물질)을 억제하는 항산화제가 풍부해 암 예방에 도움을 주지만 비타민C 영양제 단독으로는 암 예방에 의미가 없다는 설명이다.
두 번째 가설은 비타민C 영양제를 오랫동안 복용하면 오히려 외부 물질에 대한 방어와 면역력을 떨어뜨리고 되고 결과적으로 암 예방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명 교수는 “폐암 예방을 위해서는 금연이 절대적이고 비타민C와 같은 항산화제나 여러 영양물질은 영양제가 아닌 음식으로 골고루 섭취할 것을 권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비타민군, 오메가3 지방산, 유산균, 칼슘, 글루코사민 등 대표 건강기능식품은 최근까지의 임상시험 및 임상시험을 종합한 메타분석에 따르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근거가 희박하며 오히려 해가 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임상적으로 근거가 확립되지 않은 건강기능식품에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지 말고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표준체중을 유지하는 등 올바른 생활습관으로 암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게 더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연구 결과는 종양학 SCIE 국제학술지 ‘옹콜로지 레터즈(Oncology Letters)’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한편, 과일과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면 암과 심혈관질환 발생을 30%가량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여러 논문을 통해 이미 지난 수십년간 입증됐다.
특히, 비타민C는 강력한 항산화제로 폐암 발생률을 낮춘다고 잘 알려져 채소와 과일을 매일 챙겨 먹기 힘든 현대인 상당수는 영양제로 비타민C를 보충하고 있다.
다만, 과다 복용할 경우 위장장애와 구토, 신장결석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하루 1000㎎ 이내로 섭취해야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