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살아 숨 쉬는 존재’ 판소리 400년 총정리

입력 : 2023-11-17 23:00:00 수정 : 2023-11-17 19:50:14
이강은 선임기자 kelee@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판소리의 역사/정병헌/태학사/3만2000원

 

“한 시대의 가장 예리한 문제를 포착하여 예술화했던 판소리는 그 당시의 것으로 만족하는 예술이라는 점이다. … 판소리가 소중하게 지켜야 할 우리의 전통예술인 것은 바로 미래의 예술을 나타나게 하는 마중물이요, 불씨이기 때문이다.”

반세기 가까이 판소리를 연구해 온 저자는 400년 가까이 된 판소리의 역사를 한 권에 담으면서 이렇게 강조한다.

정병헌/태학사/3만2000원

책은 모두 7장으로 구성됐다. 1장 ‘판소리의 역사 들어가기’에서는 판소리의 범위와 구성, 기원과 시대 구분 등 판소리의 역사를 기술하기 위한 기본 전제를 정리했다. 이 장에서 저자가 특히 염두에 둔 것은 ‘판소리는 살아 숨 쉬는 존재’라는 점이다. 판소리의 형성 시기를 똑 부러지는 특정의 시대로 설정하지 않은 채 다소 느슨하게 여유를 두고, 시대의 구분이 서로 겹칠 수 있게 한 이유이다. 2∼7장은 각각 판소리가 형성된 시기부터, 판소리의 문법을 확립하고 ‘판소리 중시조’로 불리는 송흥록(1785∼1865)의 시대, 이후 성장과 지속, 변화와 모색, 전승과 보존 시대와 지금 시대의 판소리로 구분했다. 이처럼 판소리의 역사를 시간 순서대로 서술하지 않은 것은 모든 생명체와 같이 판소리라는 예술 형태도 긴 흐름 속에서 형성, 전개됐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설명한다.

아울러 판소리의 역사는 연창자(소리꾼)와 고수, 후원자, 청중이 만든 문화인 만큼 이들에 대한 연구가 판소리 역사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오피니언

포토

손예진 'BIFF 여신'
  • 손예진 'BIFF 여신'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