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경찰, 이상동기범죄 예측·마약 실시간 추적 등 ‘과학 치안’ 활용한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3-11-02 14:47:12 수정 : 2023-11-02 14:47:11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이상동기 범죄 등 비정형 범죄를 예측하는 인공지능(AI) 통합관제시스템, 실시간 마약 추적 등 과학 기술을 활용해 치안 공백을 메우기 위한 청사진이 나온다.

 

2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은 최근 이런 내용을 담은 ‘제2차 치안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2024∼2028년)’ 초안을 마련했다. 치안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은 경찰법에 따라 경찰청이 수립하는 과학치안 분야 법정 종합계획이다. 5년마다 수립하며 이번이 1차 계획(2019∼2023년)에 이은 두 번째다.

 

이번에 포함된 주요 내용을 보면 스토킹·성범죄 예방을 위해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알고리즘 개발, 공공장소에서의 비정상 행동과 흉기 소지여부 등을 폐쇄회로(CC)TV로 탐지하는 기술 연구·실증 등이 있다. 경찰관들의 현장 대응력을 높여줄 근력증강 슈트와 미래형 방검복 보급 계획의 구체화, 경찰 전용 UAM(도심항공교통)과 순찰로봇 및 상담·수사로 도입에도 속도를 낸다.

 

수사 역량 강화를 위해 유사 사건 추천 기능을 고도화한 범죄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동통신 악용 보이스피싱 대응 기술을 개발하는 내용도 담겼다. 마약탐지 데이터를 활용해 유통 경로를 빠르게 추적하는 실시간 맵(지도) 구축 등도 추진한다. 가상공간 범죄와 사이버테러 대응 전략으로는 메타버스 경찰청 구축, 불법 가상자산 자동추적 시스템 개발, 첨단치안센터 사이버교육장 신설 등이 포함됐다.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조직개편 구상도 담겼다. 치안정책연구소를 치안과학원으로, 과학치안진흥센터를 과학치안진흥원으로 확대 개편하는 안과 경찰청 내 ‘연구개발정책관’을 신설하는 안을 검토한다.

 

AI를 활용해 일선 수사관서-시도청-경찰청-해외 법집행기관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국제공조 통합포털' 구축 계획도 제시됐다.

 

경찰청은 이번 계획안에 대해 “범죄의 발생이 과거와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에 주목해 마련했다”며 “서울과 수도권 인구 몰림 현상으로 지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치안 공백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번 계획안은 부처 간 협의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12월 중 확정되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변경될 수 있다. 과도한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우려가 없도록 사회적 합의와 법제도 보완 등 필요한 절차를 선행한다고 밝혔다.


정지혜 기자 wisdo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이 '사랑스러운 볼콕'
  • 조이 '사랑스러운 볼콕'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