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만만한 건 사회초년생’… 악성 임대인에 전세금 떼인 78%는 20~30대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3-10-02 14:00:00 수정 : 2023-10-02 13:28:5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최근 3년간 악성 임대인으로부터 전세금을 떼이는 피해를 본 임차인 10명 중 8명은 20∼30대로 나타났다.

 

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학용 의원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 받은 ‘2020년∼2023년 7월 전세반환보증 집중관리 다주택 채무자 사고현황’ 자료에 따르면 집중관리 다주택 채무자, 이른바 ‘악성 임대인’으로 인한 피해자는 8627명으로 집계됐다.

인천의 한 아파트 현관문에 전세사기 피해 수사 대상 주택임을 알리는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뉴스1

HUG의 집중관리 대상은 공사가 집주인을 대신해 임대인에게 전세금을 세 번 이상 대신 갚아준 집주인 중 연락이 끊어져 상환 의지가 없거나 최근 1년간 보증 채무를 한 푼도 갚지 않은 이른바 악성 임대인을 뜻한다.

 

이런 악성 임대인에게 피해를 본 임차인의 연령을 보면 20∼30대가 77.9%를 차지했다. 구체적으로 30대가 4777명(55.4%)으로 가장 많았고, 20대는 1948명(22.5%)으로 나타났다. 이어 40대 1204명(13.9%), 50대 442명(5.1%), 60대 이상 239명(2.8%) 등이었다.

 

이는 부모에게서 독립해 회사 생활을 시작하는 사회 초년생들이 주로 피해를 본 것이다. 특히 사회 초년생들은 모아둔 돈이 별로 없어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세 매물을 찾다가 이 같은 전세 피해로 이어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고 금액도 30대가 9789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20대 3731억원, 40대 2542억원 순이었다. 전체 총액은 1조7517억원으로, 한명당 평균 2억원씩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김학용 의원은 “피해자가 대부분이 20∼30대 사회초년생으로, 다시는 이런 전세사기 범죄자들 때문에 청년들의 생활 터전이 파괴되고 꿈이 꺾이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며 “악성 임대인을 보다 철저하게 관리해 전세사기를 예방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강화 및 선제적 대응 조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범수 기자 swa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