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우리는 제주도도 택배비 무료인데?”…도서산간 추가배송비 논란 속 쿠팡 비결 재조명

입력 : 2023-09-27 06:30:00 수정 : 2023-09-27 00:36:29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일반 택배사와 쿠팡 물류, 뭐가 다르길래
직매입 비중 90% 이상…도서산간 무료배송
연합뉴스

 

도선산간 지역에서 온라인 유통업체 판매자들이 과도한 배송비를 받는다는 지적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년간 제주도 등 섬 지역에 무료 ‘로켓배송’을 지원한 쿠팡의 물류 비결이 재조명되고 있다. 그동안 제주도 등 섬 지역은 기본 배송비 외 추가로 3000원~1만5000원까지 배송비를 내오면서 불만이 적지 않았는데, 쿠팡은 수년간 한달 4990원 와우 회원 요금에 ‘무제한 익일 로켓배송’ 무료 정책을 제주도를 비롯한 섬 지역에 실시한다는 점에서 그동안의 물류 투자가 그 비결로 꼽히고 있다.

 

27일 제주도 등에 따르면 과도한 추가 배송비 논란에 도는 최근 내륙지역에서 들어오는 온라인 쇼핑 물건에 대한 추가 배송비를 지원키로 했다. 제주도는 이달부터 도민 1인당 최대 6만원, 1건당 300원의 추가 배송비를 지원한다. 앞서 해양수산부는 ‘섬 지역 생활물류 운임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택배 추가 배송비 지원을 위한 국비 32억5000만원을 확보했고, 이에 따라 섬 지역인 제주도부터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그동안 제주도민은 내륙 지역 상품을 제주로 들여오려면 기본요금과 별도로 추가 배송비를 최소 2000원~1만5000원까지 지불해왔다. 네이버·SSG닷컴·롯데온, 위메프·티몬 등 국내 주요 오픈마켓에 입점한 판매자들이 매기는 배송비가 일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픈마켓 판매자들의 들쭉날쭉한 배송비 정책은 소비자 배송비 부담으로 이어져왔다. 제주도의 추가 배송비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권역 평균 추가 배송비는 주문 1건당 2160원으로, 2021년 2091원으로 69원 상승했다. 제주도민 1인당 연 10만8000원의 추가 배송비를 지불하고 있는데, 제주도의 지난해 인구(70만명)로 계산하면 약 760억원을 쓴 것으로 추정된다.

 

소비자들의 불만이 목소리가 높아지며 수년 전부터 온라인 유통업체 가운데 유일하게 도서산간 지역 추가 배송비를 받지 않는 쿠팡 사례가 재조명되고 있다. 내륙과 동일한 배송혜택(익일 로켓배송)을 제공하는 유일한 온라인 유통업체이기 때문이다. 섬 지역 소비자도 한달 와우 멤버십 회비(월 4990원)이면 서울에 거주하는 소비자와 똑 같은 무료 배송 혜택을 받는다. 쿠팡은 오픈마켓 비즈니스가 90~100%에 달하는 다른 온라인 유통업체와 달리, 로켓배송 등 직매입 비즈니스 비중이 90% 이상으로 쿠팡의 도서산간 소비자 상당수는 무료 로켓배송 혜택을 보고 있다.

 

쿠팡이 도서 산간지역에서 무료 로켓배송할 수 있는 비결은 오랜 물류망 투자에 있다는 게 업계 전언이다. 쿠팡은 창립 이후 6조2000억원을 투자해 전국 30개 지역, 100개 물류센터를 구축했는데 이를 기반으로 도서산간지역 무료 배송도 기능해졌다는 설명이다. 쿠팡의 물류시스템은 ‘제조사→쿠팡 물류센터→배송캠프→고객’으로 배송하는 4단계 시스템으로 작동한다. 쿠팡은 내륙 물류망을 기반으로 지난 2020년부터 제주도에 제주시와 서귀포를 포함한 섬 지역을 커버하는 배송캠프 2곳을 오픈했고, 제주도·우도·추자도 등 인근 섬도 무료 로켓배송을 실시하고 있다. 섬 지역을 포함한 전국을 쿠팡의 로켓배송 생활권으로 구축한 셈이다. 반면 일반 이커머스 오픈마켓은 ‘제조사→중간유통사→판매자→택배 집하장→택배 터미널→택배 집하장→고객’ 등 7단계를 거치게 된다.

 

똑같이 물건이 제주도에 도착하더라도 일반 택배사 제품은 입도 후 화물 터미널과 지역 대리점을 거친 뒤 최종 목적지로 출발한다. 반면 쿠팡은 배송캠프만 거치면 고객에게 배송된다. 우도의 경우, 제주 성산읍 성산포항에서 쿠팡카를 실어 로켓배송한다. 추가 배송료 3000~5000원에, 배송기간은 1주일 가까이 걸린 일반 택배사를 이용하던 우도 주민들 상당수 쿠팡을 애용하고 있다는 게 쿠팡 측 설명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부담이 가중된 상황에서 판매자가 추가로 도서산간 비용을 요구하며 논란이 되는 것”며 “오픈마켓이 물류망 투자보다는 ‘중개 플랫폼’ 비즈니스에 집중하다 보니 배송비 문제까지 컨트롤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배송비 산정 근거를 택배 서비스 사업자가 국토부 장관에게 신고하는 ‘생활물류서비스발전법 일부개정 법률안’을 지난달 발의했다. 현행 법률엔 배송비 운임 산정에 대한 부과 기준이 없고 업체마다 배송비를 상이하게 책정하는 탓이다. 물류업계 관계자는 “육지와 다리로 연결된 도서산간 지역에서도 택배 추가 배송비를 받지 않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상품 판매자들이 추가 배송비를 받고 있다”며 “근본적으로 택배사업자들이 물류투자 등을 통해 지나친 배송비를 받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수연 기자 sooy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다미 '완벽한 비율'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