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과 국내에 각각 사무실을 차려놓고, 자녀사칭 메신저피싱(메신저 금융사기)으로 가로챈 범죄수익금을 신종 자금세탁 방법으로 60억원대의 부당이득을 올린 일당이 경찰에 적발됐다.
부산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자녀사칭 메신저피싱 사기행각을 벌인 일당 10명을 적발하고, 이 중 국내총책 40대 A씨 등 5명을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메신저피싱 사기) 위반과 전기통신사업법(대포폰 제공) 위반 및 전자금융거래법(대포계좌 제공) 위반 혐의로 구속했다고 26일 밝혔다. 또 해외로 도피한 4명을 인터폴에 지명 수배하고, 이들에게 대포 유심과 계좌를 제공한 21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2021년 3월부터 올해 6월까지 베트남과 국내에 각각 사무실을 차려놓고, 자녀를 사칭한 메신저피싱으로 155명으로부터 63억원을 받아 가로챈 혐의를 받고 있다.
동네친구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알게 된 이들은 역할을 분담해 베트남에서 메신저피싱 사기범행을 담당하고, 국내에서는 대포 유심·계좌 모집 및 불법 도박 사이트를 통해 피해금을 세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의 수법은 불법 도박 사이트에 메신저피싱 사기 피해자의 명의로 회원 가입을 한 뒤, 도박 충전금을 입금했다. 그런 다음 같은 도박 사이트에서 제3자 명의의 회원계정으로 회원 간 자금이전을 거쳐 제3자 명의 금융계좌로 환전 받아 인출하는 신종 자금세탁 수법을 사용했다.


특히 이들은 마치 아들이나 딸인 것처럼 불특정 다수에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해 돈을 빼갔다.
주요 피해 사례를 보면 지난 3월 B씨는 “엄마, 핸드폰 떨어뜨렸더니 터치가 안 돼 수리 맡기고 파손보험 신청해야 되는데 도와줄 수 있어?”라는 문자 한통을 받았다. 이들은 B씨에게 원격 접속 앱을 설치하도록 한 다음, 은행대출 및 보험해지 등으로 3억900만원을 가로챘다.
C씨는 지난 6월 “엄마, 액정이 깨졌어. 핸드폰 보험 처리하는데 컴퓨터로 하려니 폰 인증 못 받아서 엄마 폰으로 먼저 인증 받아서 보험처리할께”라는 문자를 받고, 이들이 시키는 대로 주민등록증·통장·체크카드 사본과 휴대전화 인증을 받아 넘겼다. 이후 원격 접속 앱을 설치케 한 다음 예금 1억900만원을 가로챘다.
경찰은 지난해 11월 접수된 자녀사칭 메신저피싱 사기피해 진정서를 단서로 수사에 착수한 뒤, 피해금액이 불법 도박 사이트로 입금된 정황을 잡고 신종 자금세탁수법을 적발했다.
또 범행에 사용된 휴대폰 32대와 대포 유심·계좌 121개를 압수하고, 4억5000만원을 추징 보전하는 등 총 7억5000만원의 범죄수익을 환수 조치했다.

경찰 관계자는 “스마트폰에 무심코 저장해 둔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가 사기범의 목표가 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개인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가족이나 지인이라 할지라도 일단 메신저피싱을 의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찰은 인터폴 및 해당 국가 경찰당국과 공조수사를 통해 해외로 달아난 일당 4명을 빠른 시간 내 검거할 계획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