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꽃다발 대신 ‘꽃병’… 아시안게임 시상품에 담긴 문화·예술의 숨결 [미드나잇 이슈]

관련이슈 미드나잇 이슈 , 이슈팀

입력 : 2023-09-22 21:00:00 수정 : 2023-10-04 09:26:14

인쇄 메일 url 공유 - +

송나라 역사·문화·예술 재해석한 디자인
무형문화재 장인 50명 투입, 7000개 조각
“꽃 시들지만 꽃병은 남아 문화교류 기여”

코로나19로 미뤄진 제19회 항저우 아시안게임이 23일 개막한다. 이번 아시안게임에서는 선수들이 메달을 수상할 때 꽃다발이 아닌 꽃병을 받게 된다. 역대 국제 스포츠대회에서 시상품으로 꽃병을 주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2일 신화통신, 베이징청년보 등에 따르면 항저우 아시안게임 시상품으로 사용될 꽃병은 남송시대 수도였던 항저우(옛지명 임안)의 역사와 문화가 담긴 예술작품이다. 

 

시상품은 이달 초 공개됐다. 꽃병의 이름은 ‘숴궈레이레이’(硕果累累·큰 열매가 주렁주렁 열림)로 선수들이 노력의 결실을 맺음을 축하하는 의미다. 

9월 초 공개된 항저우 아시안게임 시상품. 꽃병은 남송시대 도자기에서 영감을 받아 중국 국가무형문화유산인 동양목조각으로 제작됐다. 쓰촨관차 캡처

높이 18㎝인 이 꽃병은 중국 국가무형문화유산인 동양목조각으로 제작됐다. 동양목조각은 1400년 역사를 지닌 저장성 동양시의 전통 예술로 정교한 표현이 특징이다. 동양목조각 무형문화재 전수자인 황샤오밍(黄小明)이 “참가 선수들이 항저우와 저장성 문화의 기억을 간직하도록 시상 선물에 전통 문화 요소를 더하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한 것을 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가 받아들이면서 특별한 시상품 제작이 시작됐다.

 

꽃병의 형태는 남송시대 도자기 잔인 관요화고(官窑花觚)에서 영감을 받았다. 관요화고는 전국시대 승리를 축하하는 데 사용되는 의식 그릇이자 술잔이었으나, 송나라 때는 주로 꽃꽃이에 쓰이는 장식용 도자기로 발전했다.

 

꽃병 디자인 및 제작을 총괄한 장원(张文) 중국미술학원 교수는 “송나라의 예술적 업적은 도자기로 대표된다. 잔의 디자인은 송나라의 중요한 미학적 개념 중 하나인 단순함을 반영하고 있는데, 이는 현대 디자인의 미니멀리즘과도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꽃병 입구의 물결형태는 저장성 풍경의 시적 리듬을 담고 있다. 벌어진 병 입구에는 항저우 아시안게임의 세 마스코트가 기쁜 표정으로 역동적인 동작을 취하고 있는 모습이 조각돼 있다. 

동양목조각 장인이 항저우 아시안게임 시상품인 꽃병을 조각하고 있는 모습. CCTV 캡처

장원 교수는 마스코트의 자세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4명의 송나라 화가들로부터 영감을 얻었다고 했다. 그는 “특히 북송시대 화가 쑤한천(苏汉臣)이 그린 그림 속 아이들의 다양한 동작과 몸짓, 역동성은 매우 중독성이 있다”며 “1000년 전 예술가들이 지금 우리와 비슷한 생명력을 표현하고 싶었다는 것을 느꼈다”고 말했다.

 

꽃병은 시상품으로 사용되는 만큼 가볍고 실용적이어야 했다. 디자인팀은 운동선수들의 손 크기와 그립감 등 데이터를 활용해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접목했다. 황샤오밍 전수자와 의견을 나누며 12차례 수정도 거쳤다. 이를 통해 선수들이 손에 들었을 때 안정감 있고 팔에 끼웠을 때도 불편하지 않은 디자인을 완성했다.

 

올해 초부터는 50여명의 동양목조각 장인이 투입돼 꽃병 제작에 돌입했다. 중국 남부지방에서 흔히 자라는 너도밤나무를 조각칼을 이용해 전부 손으로 조각했다. 황샤오밍 전수자의 지도 아래 지금까지 7000개의 꽃병이 완성됐다.

꽃병 시상품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장인들과 직접 제작에 참여한 황샤오밍 동양목조각 무형문화재 전수자(왼쪽)와 꽃병을 디자인한 장원 중국미술학원 교수. 베이징청년보 캡처

꽃병에 꽂혀 전달되는 꽃은 풍작과 결실을 상징하는 벼이삭과 연꽃, ‘적자지심’으로도 불리는 중국 육성 품종 월계화, 아시안게임의 상징색인 홍운자색을 상징하는 호접란, 항저우 특산 식물인 롱징차 등 14종이다.

 

장원 교수는 “꽃은 천천히 시들 수 있지만 꽃병은 영원히 남는다”며 “선수들 각자가 고향에 이 꽃을 가져가는 것은 사실상 국가간 문화교류와 같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공개된 항저우 아시안게임의 마스코트도 장원 교수가 디자인 했다. 마스코트 천천(宸宸), 총총(琮琮), 롄롄(莲莲)은 각각 항저우가 보유한 3개의 세계문화유산을 대표한다.

 

머리가 물결모양인 천천은 7세기부터 수백년에 걸쳐 건설된 베이징-항저우 대운하를 상징한다. 대운하의 항저우 구간 랜드마크인 공천교(拱宸桥)에서 이름을 따왔다.

중국 항저우의 세 가지 세계문화유산을 상징하는 항저우 아시안게임 마스코트. 왼쪽부터 천천, 총총, 롄롄.

‘량주 고성 유적’을 상징하는 총총은 해당 유적에서 발굴된 대표적 유물 옥종(玉琮·옥으로 만든 제기)을 상징하며 머리가 옥종 모양이다. 량주 고성 유적은 양쯔강 유역의 5000년 전 선사시대 초기 국가와 도시 문명을 입증하는 증거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로부터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를 인정 받았다.

 

롄롄은 아름다운 경관으로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항저우 서호(西湖)가 모티프다. 서호에 떠 있는 푸른 연잎을 머리에 덮고 있다.

 

세 마스코트는 문화유산을 상징하면서도 로봇의 모습으로 표현됐다. 아시안게임을 통해 중국의 역사 문화적 가치와 첨단 과학기술 발전상을 동시에 알리겠다는 포부가 엿보인다. 


김희원 기자 azahoi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