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제조업 취업자 비중 10년 만에 '최저'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3-09-18 15:00:53 수정 : 2023-09-18 15:15:1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제조업 고용 부진이 계속되면서 올해 2분기 전체 취업자 중 제조업 일자리의 비중이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제조업 취업자 수는 445만8000명으로 전체 취업자(2869만3000명) 가운데 비중은 15.5%로 파악됐다. 이는 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 13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2023 경상북도 채용박람회'에서 구직자가 현장채용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9차 이전 산업분류 기준 통계까지 포함하면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으로 제조업 취업자가 늘기 시작한 1975년 2분기 15.3% 이후 가장 낮다. 통계청은 산업 구조 변화를 반영해 개정된 산업분류 기준에 따라 취업자 통계를 작성하고 있다.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2000년대 중반 이후 16~17%대를 유지해오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분기 16%까지 떨어졌고, 다시 상승해 3분기 만에 17%대로 올라섰다. 하지만 2021년 2분기(15.9%) 처음으로 15%대로 떨어진 뒤 반등하지 못하고 15~16%를 맴돌다 올해 2분기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실제 제조업 취업 시장은 부진을 지속하고 있다. 제조업 취업자는 올해 1월부터 8개월 연속 줄고 있다. 감소폭은 지난 6월 1만명까지 축소됐지만 7월과 8월 각각 3만5000명, 6만9000명 늘며 다시 악화하고 있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취업자 비중은 올해 2분기 10.1%를 기록, 2013년 10차 산업분류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대를 넘어섰다. 취업자 10명 중 1명은 보건·복지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는 의미다. 2013년 1분기 보건·복지 분야 취업자 수는 146만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6%에 불과했지만 올해 2분기에는 289만4000명까지 급증했다. 인구 고령화 등 인구 관련 요인에 더해 정부가 추진한 일자리 사업이 복지·보건 분야 일자리 비중이 늘어나는 배경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세종=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케플러 김다연 '하트 여신'
  • 케플러 김다연 '하트 여신'
  • 전종서 '깜찍한 볼하트'
  • 송중기 '여유로운 미소'
  • 진지희 '화사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