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노숙자는 돈 생기면 술 마시고 마약으로 탕진한다고?…실상은 달랐다

입력 : 2023-08-31 13:08:38 수정 : 2023-08-31 15:23:49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캐나다 연구팀 노숙자 50명 상대 조사 결과

노숙자들은 돈이 생기면 마약이나 술로 탕진할 것이라는 생각은 편견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히려 이들 상당수는 집세를 내고 옷을 사거나 교통비를 내는 등 알뜰히 사용했다.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영국 일간 가디언은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UBC) 연구팀이 밴쿠버의 노숙자 50명을 선별해 아무런 조건 없이 7천500 캐나다달러(약 733만 원)를 주고 지출 내역을 분석한 결과, 대다수가 주로 임대료와 음식비, 옷값 등 의식주 해결과 교통비 등으로 돈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하면서 노숙자에 대한 편견은 제대로 된 노숙자 정책 개발을 방해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노숙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이들에게 무조건적인 현금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성인이 필수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소득 보장의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미국인 1114명을 대상으로 이전에 실시된 설문 조사의 후속 연구다.

 

당시 설문에서 응답자들은 노숙자들에게 7500달러(991만원)의 현금을 준다면 그들은 마약이나 술, 담배 등을 사는 데 쓸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이에 캐나다 연구진은 실제로 밴쿠버의 노숙자 50명에게 화폐는 다르지만 같은 액수의 달러를 제공하고, 돈을 주지 않은 65명의 다른 노숙자 그룹과 비교해 지출 내역을 조사했다.

 

연구진은 돈을 조금씩 계속 통장으로 보내주는 대신 일시불로 줬다. 최대한 구매의 자유와 선택을 보장한다는 취지다.

 

그런데 현금을 받은 노숙자들은 대조군보다 평균 99일 노숙 생활을 덜 했고, 저축을 늘렸으며, 노숙자 쉼터에서 보낸 시간을 줄여 사회적 비용도 줄여줬다는 것이다.

 

단, 이번 연구에서 조사 대상 노숙인 중에는 심각한 수준의 약물 또는 알코올 사용자나 정신병 증상을 가진 사람은 제외됐다.  


오피니언

포토

손예진 'BIFF 여신'
  • 손예진 'BIFF 여신'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