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금감원, 저축은행 부동산 PF 대출 고강도 점검

입력 : 2023-08-20 20:22:21 수정 : 2023-08-20 20:22:20

인쇄 메일 url 공유 - +

대출자에 직접 전화로 잔액 확인
잇단 횡령 사고에 관리감독 강화

금융권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담당자의 횡령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금융 당국이 전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자금을 점검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PF 횡령 사고가 연이어 터진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직접 대출 잔액을 확인하는 등 강도 높은 관리감독에 나섰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무작위로 저축은행의 차주(대출자)에 전화를 걸어 부동산 PF 잔액을 확인하고 있다. 부동산 PF는 금융사와 시행사, 부동산 신탁회사 등 자금운용주체와 관리 주체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거액이 복잡한 대출구조로 얽혀 있어 횡령 사고에 취약하다. 실시간으로 자금을 검증하는 제3의 기관도 없다.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모습. 뉴스1

금융 당국은 횡령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저축은행권 자금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모아저축은행에서는 부동산PF 담당직원의 58억9000만원 규모 횡령 사고가 발생했고, KB저축은행(94억원), 한국투자저축은행(8억원) 등에서 횡령 사고가 잇따랐다. 최근에는 저축은행 4곳에서 시행사에 대출한 부동산 PF 자금을 관리하던 BNK경남은행 직원의 500억원대 횡령 사고가 터졌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 1월 저축은행업권과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내부통제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개선 방안에는 영업, 심사, 자금송금, 사후관리 등 업무 담당자를 구분하고 송금시스템을 개선해 수취인 임의변경을 막는 방안이 담겼다. PF 대출금이 사전에 지정된 계좌로만 입금되도록 하고 차주에게 PF 대출 송금 문자를 보내는 등 허위 자금 인출을 막는 방안도 마련됐다. 지난 5월에는 부동산 PF 잔액이 총 여신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던 흥국저축은행과 부동산 PF 대출 취급 부서에서 사후관리 업무까지 담당한 오투저축은행에 대해 부동산 PF 관련 경영유의사항이 통보됐다.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의 올해 1분기 기준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10조1000억원대로 집계됐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4.07%로 전년(2.05%) 대비 2배 가까이 높아졌다.


안승진 기자 prod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