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빨간날’은 68일로 올해와 같다. 3일 이상 연휴는 총 5번이다. 주 5일제를 적용받는 근로자들은 내년에 쉬는 날이 119일로, 올해보다 이틀 더 많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달력 제작의 기준이 되는 2024년도 월력요항을 22일 발표했다. 월력요항은 우리나라 달력 제작의 기준이 되는 자료로 천문법에 따라 과기정통부가 매년 발표한다.

2024년에는 4년마다 한 번씩 돌아오는 2월29일이 있어 1년이 366일이다. 지구 공전 주기는 약 365.2422일로, 1년을 365일로 맞추고 매년 남은 0.2422일을 4년간 모아 2월에 하루를 더한다.
달력에 빨간날로 표시되는 공휴일은 총 68일이다. 52일의 일요일과 국경일, 설날 등 18일을 더해 70일이지만, 설날(2월11일)과 어린이날(5월5일)이 일요일과 겹쳐 실질적 공휴일 수는 68일이다. 이 공휴일에는 내년 전국에서 치러지는 제22대 국회의원선거일(4월 10일)이 포함됐다.
주 5일제를 실시하는 기관이면 총 휴일일수는 토요일 52일을 더해 119일이 된다. 이는 올해 117일보다 2일 많은 것이다. 주5일제 기관을 기준으로 3일 이상 연휴는 총 5번이다. △2023년 12월30일~2024년 1월1일(3일·토일과 1월1일) △2월9~12일(4일·설 연휴와 대체 휴일) △3월 1~3일(3일·삼일절과 토일) △5월 4~6일(3일·어린이날과 대체공휴일) △9월14~18일(5일·추석 연휴)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월력요항에도 지방공휴일이 포함됐다. 지방공휴일은 ‘지방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해당 지역에서 발생한 역사적 사건을 기념할 수 있는 날을 지정한 것으로, 해당 지자체 관공서는 휴무하고, 지역 내 학교와 기업 등에도 휴업과 휴무를 권고할 수 있다.
제주도 4·3희생자 추념일(4월3일)과 전북 정읍시 동학농민혁명 기념일(5월11일), 광주광역시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5월18일)이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