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검물(可檢物)→ 검사물, 가산(加算)하다→ 더하여 계산하다, 개전(改悛)의 정(情)→ 뉘우치는 정도, 궐위(闕位)된 때→ 공석이 생겼을 때, 내구연한(耐久年限)→ 사용 가능 기간, 도과(到過)하다→ 지나다, 로타리식(rotary式)→ 회전식, 만재(滿載)하다→ 가득 싣다, 반제(返濟)하다→ (돈을) 갚다, 사위행위(詐僞行爲)→ 부정행위, 안분(按分)하다→ 일정 비율로 나누다, 회송(回送)하다→ 돌려보내다, 혼거수용(混居收容)→ 집단수용, 해태(懈怠)하다→ 게을리하다, 이행하지 않다, 포전매매(浦田賣買)→ 밭떼기 거래, 평정가격(評定價格)→ 평가액, 퇴행운전(退行運轉)→ 후진 운전, 치상(致傷)·치사(致死)하다→다치게 하다, 죽게 하다…
법제처가 2021년 12월 펴낸 ‘알기 쉬운 법령 정비 기준(제10판)’에 소개된 정비 대상 법률 용어와 이를 순화한 용어들이다. 법률 용어는 일반 국민이 아닌 법조계의 편의를 위해 사용돼 순화하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려운 말이 많다. 법제처 정비 대상 용어만 5000개가 넘는다. 이 때문에 어려운 형편에도 어쩔 수 없이 변호사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진다.

한국법제연구원이 2021년 발표한 ‘국민법의식조사 연구’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6명은 법률 용어와 문장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남녀 성인 3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법률 용어·문장을 이해하기 쉽다는 응답은 각각 9.7%, 10.4%에 그쳤다. 소득 수준과 학력 수준이 낮을수록 법률 용어·문장을 이해하는 데 더 어려움을 느꼈다. 학력별로 ‘법률 용어를 이해하기 쉽지 않다’는 응답자 비율을 보면 중학교 졸업 이하의 경우 72.1%, 대학교 졸업 이상의 경우 53%로 20%포인트가량 차이가 났다.
월 소득별로 같은 응답을 한 비율은 100만원 미만(76.4%), 100만~200만원 미만(66.4%), 200만~300만원 미만(61.1%), 300만~400만원 미만(55.4%), 400만~500만원 미만(60.4%), 500만원 이상(55.8%)이다. 한국법제연구원은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지역 규모가 작아질수록 법률 용어와 문장에 대한 접근성도 낮아진다”며 “어려운 표현과 문장보다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문체로의 전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물론 용어 변경에 따른 혼선이 일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법은 법조인만의 전유물이 아니고 온 국민을 대상으로 적용되는 만큼 국민들의 알권리 보장과 정당한 권리 행사를 위해서라도 법률 용어와 판결문 등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정부와 사법부·입법부 모두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얘기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