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우 김태리씨가 자신이 준비 중인 ‘브이로그’에 외국어 자막을 입혀줄 ‘재능 기부자’를 구하는 글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렸다가 ‘열정페이’ 논란에 휩싸이자 사과했다.
김씨는 지난 23일 밤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직접 사과문을 올렸다.
이 글에서 김씨는 “팬분들께 받아온 사랑에 보답하고자 브이로그를 기획하게 됐고 촬영, 편집, 현재는 영어 자막 번역까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과정을 참여하고 있다”고 재능 기부 모집 논란이 일게 된 배경을 언급하기 시작했다.
그는 “영상이 공개된 시점부터 지금까지 영어권뿐만 아니라 정말 다양한 나라의 팬분들께서 각국의 자막 요청을 해주셨고, 영상 아래 달린 여러 언어들을 보며 이분들이 자국의 언어로 된 자막으로 영상을 보실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했다”고 했다.
이어 “그러다 ‘저와 팬분들이 함께 무엇인가를 완성해 본다면 의미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에만 집중하게 돼 마음이 앞선 행동을 했다”고 했다.
김씨는 “가장 중요한 문제에 있어 조심성 있게 다가갔어야 했는데, 명백히 제 생각이 부족했다. 저를 사랑해 주시는 분들께 재능 기부라는 형식으로 다가갔으면 안 됐다”면서 “분명한 잘못이며 저 스스로가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깊이 반성한다”고 사과했다.
그러면서 “좋은 마음으로 번역에 지원해 주신 모든 분들께 한 분, 한 분 사과 메일을 드렸다”며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했다.
김씨는 지난 22일 자신의 유튜브 ‘브이로그’ 영상에 외국어 자막을 번역해줄 자막 제작자를 ‘재능 기부’로 구한다는 글을 인스타그램에 올렸다.
이에 수익을 기부하는 공익 콘텐츠도 아닌데 제대로 된 급여를 지급하지 않고 재능 기부를 요구하는 게 적절한지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해당 글은 곧 삭제됐고, 김씨의 소속사도 23일 “저희의 부족함으로 다수의 분에게 불편함을 드리게 돼 진심으로 죄송한 마음을 전한다”라며 고개 숙였다.
최근 이러한 ‘열정페이’ 논란이 다시금 우리 사회 뜨거운 화두로 떠올랐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사저 인근에 사비를 들여 조성한 ‘평산책방’ 역시 ‘자원봉사자 모집 공고’를 냈다가 철회한 바 있다.
지난 5일 책방 측은 오전, 오후, 종일 자원봉사자를 모집한다고 SNS에 공고를 냈는데,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지불하는 대신에 ‘평산책방 굿즈’, 간식만을 제공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특히 종일 자원봉사자에게만 식사를 제공한다고 해 더욱 뭇매를 맞았다.
이에 평산책방 측은 사흘 후인 8일 “마을 안내, 마을 가꾸기, 책 읽어주기 등 재단이 하고자 하는 공익사업을 하고자 자원봉사단을 꾸려두려고 했는데, 과욕이 된 것 같다”라며 모집 계획을 철회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