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청년 10명 중 6명, '중소기업은 업무량 대비 처우 낮다’

입력 : 2023-05-24 12:03:00 수정 : 2023-05-24 13:00:1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워라밸 어려움’·‘미래성장 불투명’도 지적
정부의 청년 일자리 정책 참여 비율은 15%에 불과

청년 고용상황이 나빠진 상황에서 대기업·공공기관 위주의 일자리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10명 가운데 6명은 중소기업이 ‘업무량에 비해 처우가 낮다’고 생각했다. 정부의 청년 일자리 지원정책에 참여한 청년 비율은 15.0%에 그쳤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청년구직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년세대 직장 선호도조사’ 결과 청년들이 선호하는 직장은 여전히 대기업(64.3%), 공공기관· 공무원 등 공공부문(44.0%), 중견기업(36.0%) 순이었다. 중소기업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15.7%에 그쳤다.

청년들의 대기업·공공부문 선호 현상은 일자리 미스매치를 고착화시키고, 청년층 일자리 사정을 어둡게 할 것으로 보인다. 고용노동부의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에 따르면 2022년 3분기 기준 적극적 구인활동에도 채용을 못한 미충원인원이 18만5000명으로 역대 최대 수준이다. 이는 대부분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17만3000명, 93.7%)에서 발생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취업자 수는 청년인구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전년동월 대비 5만2000명 줄었다.

중소기업에 대한 낮은 선호는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한 청년들의 부정적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청년들에게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한 생각을 물은 결과 ‘업무량에 비해 낮은 처우’(63.3%), ‘워라밸 실현 어려움’(45.3%), ‘불투명한 미래성장’(43.7%), ‘낮은 고용안정성 우려’(39.3%), ‘사회적으로 낮은 인식’(37.0%) 등 순이었다.

청년구직자들이 직장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복수응답)은 ‘임금 및 복지수준’(86.7%)이었고, ‘근로시간(워라밸)’(70.0%), 안정성과 업무강도 등 ‘근무환경’(65.7%), ‘고용안정성’(57.0%), ‘기업위치’(44.0%) 등이 뒤를 이었다.

 

희망하는 신입사원 초봉에 대해서는 ‘3000만~3500만원 미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9.0%로 가장 높았고, ‘3000만원 미만’(20.0%). ‘3500만~4000만원 미만’(19.0%), ‘4000만∼4500만원’(11.0%), ‘4500만~5000만원’(5.3%), ‘5000만원 이상’(5.7%) 순이었다.

 

최근 대기업 생산직 채용에 수만명의 청년지원자들이 몰린 이유도 ‘높은 임금과 복리후생’ 때문이라는 응답이 71.7%로 가장 높았다. ‘대기업 소속직원이라는 평판’(44.3%), ‘고용안정성’(37.3%), ‘근무시간 등 우수한 근무환경’(31.7%) 등을 꼽았다.

 

청년일자리 문제가 해소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근로조건 개선’(46.7%)이 우선적으로 실시돼야 한다는 것이 청년들의 생각이다. 이어 ‘경기활성화정책’(40.7%), ‘노동시장 개혁’(33.3%), ‘기업투자 촉진’(24.7%), ‘일자리 미스매칭 해소’(23.0%), ‘대졸자 과잉해소 등 교육개혁’(18.3%), ‘4차 산업혁명 인력수요에 맞게 재교육’(12.7%) 등 순이었다.

 

중소기업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구체적으로 무엇이 필요한지를 물었을 때 응답자들의 78.0%가 ‘임금수준 향상’을 꼽았다. ‘워라밸 보장’(62.0%), ‘수평적 조직문화 조성’(42.0%), ‘안전한 일터 조성’(39.0%) 등이 뒤를 이었다. 

유일호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수출감소가 7개월째 이어지고 있고 글로벌 경기둔화, 대중교역 약화 등 수출조건이 개선될 여지가 보이지 않고 있어 청년고용시장은 한동안 얼어붙을 수 있다”며 “청년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는 것이 관건으로 적극적인 규제·노동시장 개혁을 통해 기업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여력을 넓혀 줘야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설문에 응답한 청년들 중 정부의 청년 일자리 지원정책에 신청해 참여한 비율은 15.0%에 그쳤다. 응답청년의 77.7%가 지원신청을 하지 않았다. ‘신청했지만 떨어졌다’(7.3%)는 청년들도 있었다.

 

청년 일자리 지원정책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로는 ‘정보를 찾기 어려워서’(29.2%)와 ‘신청해도 안 될 것 같아서’(29.2%)가 가장 많았다. 이어 ‘관심이 없어서’(24.9%), ‘도움되지 않을 것 같아서’(15.9%)의 순이었다.


정재영 기자 sisleyj@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